DOI QR코드

DOI QR Code

Wind Load Analysis of 61ton-class Container Crane using the Computation Fluid Dynamics

61ton 컨테이너 크레인의 전산유동해석을 통한 풍하중 분석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Container cranes are vulnerable structure about difficult weather conditions bemuse there is no shielding facility to protect them from the strong wi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wind load which have an effect on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the various wind direction. The container crane is a model of a 61-ton class that used broadly in the current ports. The external fluid field was figured as a cylinder which was set up $500m{\times}200m$. In this study, we applied mean wind load conformed to 'Design Criteria of Wind Load' in 'Load Criteria of Building Structures' and an external fluid field was divided as interval of 10 degrees to analyze effect according to a wind direction In this conditions, we carried out the computation fluid dynamic analysis using the CFX-10. As we compared computation fluid dynamic analysis with wind tunnel test, we analyzed the wind load which was needed to design the container crane.

컨테이너 크레인은 강풍으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한 차폐물이 없는 곳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상 기후 조건에 취약성이 있는 구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향변화에 따라 컨테이너 크레인에 작용되는 풍하중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용된 모델은 61톤 급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현재 항만시설에 많이 사용되는 모델이다. 유동장은 원통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직경 500m, 높이 200m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하중기준의 풍하중 설계기준에 따라 풍하중을 적용하였으며 풍향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유동장을 $10^{\circ}$ 간격으로 분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CFX-10을 사용하여 전산유동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와 풍력실험 결과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컨테이너 크레인의 구조설계에 필요한 풍하중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한, 이영진, 이진우, 이권순(2000), "고효율 갠트리 크레인 설계 및 성능 분석", 한국항만학회지, 제14권, pp. 395-406.
  2. 건설교통부(2000), "건축물하중기준"
  3. 양창호, 김창곤, 최종희, 최상희, 최용석, 이주호(2002), "초대형 컨테이너선 운항에 대비한 차세대 항만 하역시스템 기술개발 전략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4. 이성욱, 심재준, 한동섭, 박종서, 한근조, 이권순, 김태형(2005), "풍하중이 컨테이너 크레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정밀공학회지 제 22권 제 2호, pp. 148-155.
  5. 한진중공업(2004), "광양항 61ton 컨테이너 크레인 구조 및 기계부문 계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