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influence of policeman's personality to job satisfaction

경찰관의 성격 및 창의적 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efficiency of police organization if policeman has their hob satisfaction. To effectively perform the service, it is important to a matter of outcome or satisfaction of duty. However, the study in this field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introduction is in the first chapter.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ive analysis and argument in the third chapter and finally the conclusion in the forth chapter. In this study, according to analysis of position, personality show no differences and job satisfaction show more higher in police sergeant class. Also,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sociality and prudence and outcome of duty and occupational view in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a sociable person influence affirmative occupational view and outcome of duty.

경찰공무원은 임무의 특수성 때문에 다른 공무원들이 가지는 권한행사에 비해 제약 요인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수성 때문에 경찰관들은 업무 수행 시 돌발적 상황들과 직면하게 되고 심각한 스트레스나 문제들을 유발할 수 있다. 경찰활동이 최상의 효율성을 낳기 위해서는 경찰관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이 있을 때만 가능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개인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경찰조직에서도 조직구성원의 관리에 신경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찰관의 성격 및 창의적 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측정은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고, 경기지방경찰학교에 입소한 경찰관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격검사는 LCSI검사법을 사용하여 5개요인(도전성, 사교성, 수용성, 신중성, 안정성)을 측정하였고, 창의성(CPI)검사는 5개요인(개념화, 변화지향, 상상, 독창성, 심미성)의 검사를 하였다. 직무만족도 검사는 14개 문항에 대한 요인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성격과 창의적 인성은 직무만족이라는 측면에서 경찰관의 자기개발, 교육 등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임이 검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