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gradation and Recovery Mechanisms of Composites under the Moisture Environment

복합재료의 수분에 의한 열화 및 회복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김윤해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소재공학부) ;
  • 김국진 (대한항공 우주항공사업부) ;
  • 한중원 (대한항공 우주항공사업부) ;
  • 조영대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소재공학부) ;
  • 배성열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소재공학부) ;
  • 문경만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소재공학부)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Decrease of strength in composite material is generally caused by water absorption. It makes fracture of material, and loss of money or human l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decrease in strength by water absorption. Mechanism of water absorption was supposed as three steps. This mechanism is consisted of absorption into resin, absorption between resin and surface treatment agent, and delamination between fiber and resin. Conditions of test were supplied differently; kinds of fiber and resin, immersion time etc. Both of reversible reaction and irreversible reaction occurred simultaneously. Most of decrease in strength was finished at 2.5% water absorption, and the strength was recovered. At 4% water absorption, most of decrease was caused by irreversible reaction, therefore, there was a tendency not to be recovered in strength.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수분에 의해 강도저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파괴가 발생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흡습에 의한 강도저하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수분이 복합재료에 흡수되는 메커니즘을 가정하였다. 흡수 메커니즘은 step 1, step 2, 그리고 step 3로 구분하였다. 이 메커니즘을 증명하기 위하여 강화섬유 및 수지의 종류, 수분이 흡수되는 시간 등의 조건을 다르게 하여 시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건조에 의해 인장강도가 회복되는 가역(reversible)반응과 건조로 인해 회복이 불가능한 비가역(irreversible)반응이 모두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강도저하는 흡습율 2.5% 에서 거의 완료되며, 흡습율이 4%에 이르면 비가역반응에 의한 강도저하가 많이 작용하여 강도회복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창권, 복합재료, pp. 221, 270
  2. Judd, N. C. W., 'Absorption of Water into Carbon Fibre Composiotes,' J.British Polymer, Vol 3, 1977, pp. 36-40
  3. Loos, A. C. and Springer, G. S., 'Moisture Absorption of Graphite-Epoxy Composites Immersed in Liquids and in Humid Air,' J. of Composite Materials, Vol. 13, 1979, pp. 131-147 https://doi.org/10.1177/002199837901300205
  4. Brikstad, M. Sjoblom, P. O. and Johannesson, T. R., 'Long-Term Moisture Absorption in Graphite/Epoxy Angle-Ply Laminates,' J. of Composite Materials, Vol. 18, 1983, pp. 32-46 https://doi.org/10.1177/002199838401800103
  5. 서상하, 이덕보, 문창권,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수분에 의한 열화 및 회복에 관한 연구, 한국복합재료학회지, 제 17권, 제3호, 2004, pp. 8
  6. Anthony Kelly and Carl Zweben, Polymer Matrix Composite, Vol. 2, 2000, pp. 4-11
  7. 문창권, 복합재료, pp. 221
  8. 김효진, 서도원, 박한주, 전양배, 임재규, 대한기계학회논문집 A권, 제30권 제 7호, 2006, pp. 779-786 https://doi.org/10.3795/KSME-A.2006.30.7.779
  9. J.R.M.d'Almeida, R.C.de Almeida and W.R.de Lima, Effect of water absorption of the mechanical behavior of fiberglass pipes used for offshore service waters, Composite structures, Vol. 83, 2008, pp. 221-225 https://doi.org/10.1016/j.compstruct.2007.04.020
  10. 서상하, 이덕보, 문창권,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수분에 의한 열화 및 회복에 관한 연구, 한국복합재료학회지, 제 17권, 제3호, 2004, pp.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