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Tidal Power Generation Output Using Water Tank

수조를 이용한 조력발전량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eong, Shin-Taek (School of Civil, Environment and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 Kim, Jeong-Dae (School of Civil, Environment and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 Ko, Dong-Hui (School of Civil, Environment and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 Choi, Woo-Jung (School of Civil, Environment and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 Oh, Nam-Sun (Div. of Ocean Civil E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정신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정대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고동휘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최우정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오남선 (목포해양대학교 해양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A method to generate electric power from small scale water tank. For this purpose, manufacturing tank is investigated, measuring water level change at any time, and finally comparing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value, are performed. Inner and outer tank are made to simulate flood and ebb generation. Two sets of pipe are connected between tanks,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under varying flowrate. Coefficients of flowrate are calculated comparing water level change data and theoretical value. Measured and theoretical water levels are highly correlated, and this ascertains that analytical equation simulates real water level changes well. Flowrate change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propeller and valve, on flood and ebb generation, shows the necessity of experiment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electric power system. Moreover, total energy calculated from experimental data agrees well with that of theoretical equation. In spite of small tidal power output, this generating system with optimum water tank can be applied to any place where high water level change occurs, and can make a contribution to producing new and renewable energy consequently.

소규모 수조를 이용한 조력발전시스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규모 수조를 제작하고 시간에 따른 수위의 변화를 관측한 후 이를 이론적인 계산값과 비교하였다. 수조는 내부수조와 외부수조로 제작하여 창조발전과 낙조발전의 개념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내부수조와 외부수조의 연결관을 두 곳에 설치하여 유량을 변화시키며 실험을 하였다. 관측된 수위의 변화를 계산값과 비교하여 유량계수를 산출하였다. 수위의 관측치와 이론적인 계산치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식이 실제의 수위를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펠러의 유무, 밸브의 유무, 창조 발전, 낙조 발전 등에 따라 유량계수가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발전시스템을 제작할 때 실험을 통한 유량계수 등의 산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론적인 식에 의한 총에너지와 실험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총에너지를 비교한 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수조에 대하여 계산된 발전량은 크지 않으나 충분한 조차가 있는 곳에 적정 규모의 수조를 설치할 경우 소규모의 조력발전이 가능하여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동부건설주식회사, 한국해양연구원 (1993). 조력에너지 개발 및 이용을 위한 최적발전량 산출기법 개발 연구보고서
  2. 오명학, 박진순, 이광수 (2007). 우리나라의 조력에너지 개 발 여건. 대한토목학회지, 55(12), 135-140
  3. 이광수 (2005). 한반도 조력자원 개발타당성. 한국신재생에 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42-350
  4. 이광수, 염기대, 송원오 (1994). 조력발전 적정개발규모 결 정을 위한 해석적 모형. 해양연구, 16(2), 111-124
  5. 한국수자원공사 (2002). 시화호 조력발전 건설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보고서
  6. 한국해양연구소 (1993). 가로림 조력 개발 타당성 조사 보고서
  7. 해양수산부 (2001). 해양에너지 실용화 기술개발(I): 조력조 류에너지
  8. Baker, A.C. (1991). Tidal Power. Peter Peregrinus Ltd., London, United Kingdom
  9. Boyle, G. (1996). Renewable energy, Open university in association with OUP
  10. Hubbert, M.K. (1971). Scientific American, Sep
  11. McVeigh, J.C. (1984). Energy around the world, Pergamon
  12. Ross, D. (2001). Better than clockwork : Tidal power keeps to time, always, Refocus, 2(2), 40-42
  13. Yi Jwo-Hwu (1998). Electric power generation at the ebb tide.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48, 31-35 https://doi.org/10.1016/S0378-7796(98)00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