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Rock Stress Field at Shallow Depth in the Kyungsang Basin with In-situ Rock Stress Measurement

현장 측정을 통한 경상분지의 천부 초기응력장 특성에 관한 연구

  • 배성호 ((주)지오제니 컨설턴트) ;
  • 전석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 김재민 ((주)지오제니 컨설턴트 지반사업부) ;
  • 김장순 ((주)지오제니 컨설턴트 지반사업부)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It is nearly impossible to estimate the exact state of the current rock stress of interest site by the theoretical and physical approaches except some specific geological situations. This means that in-situ stress measurement is a unique way to obtain reliable information on rock stress especially for civil and mining engineering related problems. Since late in the 90's, in-situ rock stress tests have been widely conducted to provide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stress state of engineering site at the design stage of an underground rock structure in the Kyungsang Basin, Korea. The study area is the near surface regions at the depth less than 300 m in the Kyungsang Basin. It includes Yeosoo to the west and Busan to the east. Totally, 270 in-situ stres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the surface test boreholes at the depth from 14 m to 300 m by hydraulic fracturing method. In this paper,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se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in-situ rock stress fields in the study area are briefly described. And also the investigation result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ess distributions for the granitoid and the andesitic rock region are also introduced. Finally, the distributions of the regional horizontal stress directions in Busan and the Yangsan faults area are shown.

특수한 지질조건을 제외하면 이론적이거나 물리적인 방법으로 특정지역의 정확한 암반 초기응력 상태를 예측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는 토목공학이나 광업개발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 암반 응력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는 유일한 방법은 현장 측정에 위해서만 가능함을 의미한다. 1990년대 이후 국내 경상분지 영역 내암반 구조물 설계단계에서 정량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많은 현장 초기응력 측정이 수행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지역은 경상분지의 지표로부터 심도 300 m 미만 지하공간으로 위치적으로 동쪽의 부산에서 서쪽으로는 여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한다. 현장 초기응력 측정은 대부분 지표 시험공을 이용하여 심도 $14m{\sim}300m$ 영역에서 수압파쇄법에 의해 총 270회 시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전체 연구지역에 현재 형성되어 있는 초기응력 상태, 화강암류와 안산암류 지역에서의 초기응력 분포 특성 차이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산 일원과 양산 단층대 지역 내 수평응력 방향성의 국부적 분포 양상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배성호, 2005, 수압파쇄법에 의해 측정된 국내 초기응력의 지체구조구별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공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 배성호, 전석원, 최용근, 김재민, 서울 중심부 편마암 분포지역 저심도 구간의 암반 초기응력 분포특성 연구, 한국터널공학회, Vol. 5, No. 2, pp. 147-159
  3. 이준동, 김인수, 윤선, 상기남, 김영화, 1993, 연양지역을 중심으로 한 양산단층에 관한 연구-특히 파쇄작용과 자기 비등방성 고찰을 중심으로-, 대한지질학회지, Vol. 29, No. 2, pp. 128-144
  4. 윤운상, 2003, 단열 구조 분포 특성화와 사면 안정성 해석 연구, 이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5. 채병곤, 장태우, 1994, 청하-영덕지역 양산단층의 운동사 및관련단열 발달상태, 지질학회지, Vol. 30, pp. 379-394
  6. 최성자, 최위찬, 류충렬, 이영준, 2000, 모량 단층 중북부의 분절현상, 한국자원공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춘계 공동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05-106
  7. Jager, J.C., Cook, N.G.W., 1969, Fundamentals of rock mechanics, Methuen & Co Ltd
  8. elhe, R.O., 1964, The determination of tectonic stress through analysis of hydraulic well fracturing ,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9, pp. 259-273 https://doi.org/10.1029/JZ069i002p00259
  9. Lee, M.Y., Haimson, B.C., 1989, Statistical evaluation of hydraulic fracturing stress measurement parame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 Mining Sciences, Geomechanics Abstracts, Vol. 26, No. 6, pp. 447-456 https://doi.org/10.1016/0148-9062(89)91420-4
  10. Lee, M.Y., 1991, Advances in instrument, data analysis, and calculation in hydraulic fracturing,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U.S.A
  11. Hubbert, M.K., Willis, D.G., 1957, Mechanics of hydraulic fracturing, Trans., AIME, Vol. 210, pp. 153-166
  12. Hudson, A., Harrison, J.P., 1997, Engineering rock mechanics-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Perga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