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Follow-up Results of the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Knee (more than 5 years)

슬관절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의 장기 추시 결과 (5년이상)

  • Lee, Byung-I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Choi, Hyung-S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Min, Kyung-Da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Rah, Soo-K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Cho, Sang-Hyuc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이병일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최형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민경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나수균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조상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Purpose: To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ong-term follow up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the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in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and analyzed 6 patients (6 cases) who underwent arthroscopy and excisional biopsy as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from March 1988 to June 2002. The clinical diagnosis was confirmed by pathologic findings. All patients had been managed with arthroscopic excision, but two patients underwent mini-open excision. The recurrence was evaluated by the loss of preoperative symptom and physical examination for range of motion, pain and finding of swelling. Results: According to the arthroscopic findings, all patients had localized form of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Three patients had pedunculated type (one of them had torsion) and the two patients had nodular type and one patient had mixed type. All patients had improvement in pain, swelling and range of motion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Conclusion: In terms of long term follow up results, precise preoperative diagnosis and the adequate surgical treatment, especially arthroscopic excision for the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would be considered one of the fundamental modality to expect the good results.

목적: 슬관절에 발생한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 환자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후 5년 이상 장기 추시하여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3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관절경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으로 확진된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관절경을 이용하여 병변을 확인한 후 관절경적 방법만으로 절제적 생검술을 시행하도록 노력하였으나, 2예에서는 소절개를 이용하여 적출하였다. 술전 증상의 소실 여부 및 이학적 검사 등을 통하여 재발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관절경 소견상 국소형이었고 그 중 3예는 자루형, 2예는 결절형, 1예는 혼합형 종물이었다. 3예의 자루형중 1예에서 뚜렷한 염전 소견이 있었고, 종물의 크기가 매우 커서 전내측에 소절개를 가하여 적출한 1예 및 후방구획에 존재하여 후내측에 소절개를 시행하였던 1예를 제외하고는 관절경적 방법만으로 적출하였다. 모든 예에서 술전 증상은 소실되었고 최종 추시시 재발을 의심할만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은 특히 관절경을 이용한 경우 정확한 병소파악을 통한 진단과 완전 절제에 의한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여 장기 추시시에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