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Fast Recovery Scheme for Resiliency of Attacked Resilient Packet Ring(RPR)

공격받은 IEEE802.17 Resilient Packet Ring(RPR) 망의 Resiliency를 위한 신속한 망 복원방안

  • 이영주 (용인송담대학 정보미디어학부) ;
  • 구도정 (한국항공대학교대학원 통신정보공학부)
  • Published : 2008.06.20

Abstract

In this paper, we suggest new fast recovery mechanism in RPR network, in case of node addition or removing by exterior attack. A RPR network recovery time is consist of two. Failure detecting time and reporting time are that. In this paper we propose fast recovery mechanism that can reduce each time. In a Legacy recovery mechanism, To report node's state, rpr node transmit protection messages. But interval of this protection messages increase exponentially. Thus A transmission failure of protection message cause delay of reporting of network state. Therefore we propose new node state reporting mechanism that put a node state in type b fairness message. And We also suggest fast failure detecting mechanism.

본 논문은 RPR 망에서 외부의 공격으로 인해 새로운 노드의 추가, 제거 혹은 링크의 단절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보다 신속하게 망을 복원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망 복원에 소요되는 시간은 크게 문제를 감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이를 복원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간들을 각각 단축함으로써 신속한 망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복구 방식에서는 망 복원용으로 사용되는 프로텍션 메시지의 전송으로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보고하며, 이러한 프로텍션 메시지의 전송 간격은 지수증가 한다. 프로텍션 메시지의 전송 간격이 지수증가 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은, 프로텍션 메시지의 전송 실패로 인해,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보고가 지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노드간의 자동 대역조절을 위하여 1ms주기로 전송되는 b형 공평메시지에 링크 또는 노드의 상태 정보를 실어서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의 링크의 단절을 보다 신속히 감지하기 위한 방법도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