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exural Experiment of PSC-Steel Mixed Girders and Evaluation for Analyses on Tangentional Stiffness of Connection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강 혼합거더의 휨 실험 및 경계면 수평계수 분석

  • Kim, Kwang-Soo (Hyundai E&C, HwaMyung Bridge Construction Project) ;
  • Jung, Kwang-Hoe (Hyundai E&C, Hyundai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Development) ;
  • Sim, Chung-Wook (Hyundai E&C, Hyundai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Development) ;
  • Yoo, Sung-Won (Dept. of Civil Environmental Engineering, Woosuk University)
  • 김광수 (현대건설(주) 화명대교현장) ;
  • 정광회 (현대건설(주) 기술연구소) ;
  • 심정욱 (현대건설(주) 기술연구소) ;
  • 유성원 (우석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joint behavior of prestressed concrete(PSC)-steel mixed girders through the flexural test of 14 beams according to embedded length, amount of reinforcing steel, stud arrangement, and prestressing force. All test beams were failed by turns of desertion of reinforcing steel, stud, and steel plate. From test results, prestressing force was more effective on performance of connection than stud arrangement and reinforcing steel. And the spacing of stud is also more effective than embedding length. This paper also presented 3D nonlinear analysis considering the slip of composite section as well as the static load tests of PSC-steel mixed girders. According to the slip modulus, the nonlinear analysis showed that the behavior of hybrid girder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arts as full-composite, partial-composite and non-composite. Howev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SC-steel hybrid girders with shear connectors took the part of partial composite action in ultimate load stage. In addition, it was founded that stud shear connectors and welded reinforcements were contributed to improve the ultimate strength of hybrid girders for about 20%.

복합 구조 형식인 PSC-강 혼합 거더는 신형식 구조로서 비대칭 경간 구조물이나 장대교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입길이, 보강철근, 스터드, 프리스트레스 힘 등을 변수로 총 1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혼합 거더의 접합부 거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보강철근, 스터드, 강판 등의 순서로 기능을 손실하면서 파괴되었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접합부의 성능에는 스터드 배치와 보강철근에 비해 프리스트레싱 힘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매입길이에 비하여 스터드의 배치가 접합부 성능에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적 연구와 함께 슬립을 고려한 3차원 비선형해석을 수행하였다. 경계면의 거동은 인터페이스 요소와 슬립 물성을 통하여 완전 합성, 부분합성, 비합성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혼합 거더의 접합부 설계에 따른 경계면 거동을 해석과 실험 결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스터드 전단연결재가 적용된 혼합 거더는 극한하중 단계에서 부분합성 거동을 나타내며 보강 철근 또한 혼합 거더의 극한강도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수, 김성은, 최현식, "단부 철근콘크리트-중앙부 철 골로 구성된 복합보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14권, 3호, 2002, pp.413-423
  2. 김광수, 정광회, 심정욱, 유성원, "PSC-강 혼합거더의 연 결부 거동 해석", 한국콘크리트학회 봄학술대회논문집, 16권, 1호, 2004, pp.766-769
  3. Soh, C. K., Chiew, S. P., and Dong, Y, X., "Damage Model for Concrete-Steel Interface", J.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Vol.125, No.1, 1999, pp.979-983 https://doi.org/10.1061/(ASCE)0733-9399(1999)125:8(979)
  4. 川端一三 他, RC積層構法による超高層骨組の構造實驗 (そ の6 はりのせん斷補强方法に關する實驗),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 Oct. 1987, pp.301-302
  5. 金田和浩, 吉崎征二, 宮崎直志, 川端一三, "RC積層構法に よる超高層骨組の構造實驗 (その8材端部RC中央部鐵骨て 構成される複合構造梁の在荷實驗)", 日本建築學會大會學 術講演梗槪集, Oct. 1987, pp.305-306
  6. 淺山長生 他, 端部RC中央部S造の複合構造梁の實驗 その 1實驗の槪要,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 Sep. 1993, pp.1867-1868
  7. 網干眞一 他, 端部RCRC中央部S造の複合構造梁の實驗 そ の2 應力傳達機構,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 Sep. 1993, pp.1869-1870
  8. "Design of Compostie Slab Based on Small Scale test", Proc. of Nordic Steal Conference, Bergen, Norway, 1998, pp.415-427
  9. Frits, C. W. and Peter, H. F., DIANA User's Manual: Nonlinear Analysis-Release 7, TNO, 1998, pp.141-156
  10. 정연주, 정광회, "슬립을 고려한 합성구조체의 비선형해 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2권, 1-A호, 2002, pp.31-42
  11. 최광호, "철골보-철근콘크리트 기둥 접합부의 휨 및 전 단 저항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12 권, 4호, 2002, pp.429-436
  12. Hajjar, J. F., Schiller, P. H., and Molodan, A., "A Distributed Plasticity Model for Concrete-filled Steel Tube Beam-columns with Interlayer Slip", Engineering Structures., Vol.20, No.8, 1998, pp.663-676 https://doi.org/10.1016/S0141-0296(97)00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