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um Lipid Profile and Nutritional Status in 6~7 Year Old Obese Children

6~7세 비만아에서 혈청 지질과 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 Rim, Jee-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Moon, Ji-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Lee, Chul-Gab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Moon, Kyung-Ry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임지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문지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철갑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교실) ;
  • 문경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8.07.31
  • Accepted : 2008.09.01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haracterize the nutritional status and assess obesit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serum lipid profiles in 6~7 year old children. Methods: In 2007, we surveyed 483 children (233 boys and 250 girls) aged 6~7 years.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evels and HDL-cholesterol were measured in the fasting state. Dietary information was obtained by a questionnaire.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9.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The mean caloric intake was 1,781 kcal in boys and 1,640 kcal in girls. The prevalence of excessive calories was 33% in boys and 30% in girls. The prevalence of a total cholesterol ${\geq}$200 mg/dL was 8.4%, TG ${\geq}$130 mg/dL was 5.0%, LDL-cholesterol ${\geq}$130 mg/dL was 3.1%, and HDL-cholesterol <35 mg/dL was 4.4%.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2.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The systolic blood pressure, triglyceride levels and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n increased obesity index (p<0.05). The mean caloric intake and nutritive component were not related to the obesity index. The obesity group w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riglycerides ${\geq}$130 mg/dL the odds ratio was 4.08; for LDL-cholesterol ${\geq}$130 mg the odds ratio was 2.85; for a TC/HDL-cholesterol ${\geq}$4.0 the odds ratio was 1.16. The BMI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group with hypertension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p<0.05).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BMI and blood pressure as well as the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p<0.05). The BMI was not correlated with the mean caloric intake or nutritio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in 6~7 year old childre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n increased obesity index. The management of obesity in 6~7 year old children should include a reduction in the risk for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목 적: 6~7세 소아에서 영양섭취상태와 비만, 혈압, 혈중 지질 농도 등을 조사하여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7년 9월부터 10월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의 3개 초등학교 1학년 483명(남아 233명, 여아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중, 신장, 비만도 및 BMI, 혈압, 맥박 등 신체를 계측 하고 공복 시 지질, 혈당등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부모가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각 아동들의 영양 상태를 평가 하였다. 결 과: 1) 비만은 9.9%이었으며 남아에서 10.3% (경도 4.7%, 중등도 이상 5.6%), 여아에서 9.6% (경도 6.4%, 중등도 이상 3.2%)이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반면 12%에서 영양 부족을 보였다. 평균 총 칼로리 섭취량은 남아, 여아에서 각각 1,781 kcal, 1,640 kcal이었으며 각각 35% 이상, 30%에서 권장량 이상을 섭취하고 있었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지질혈증은 총 콜레스테롤이 200 mg/dL 이상인 경우 8.4%이었으며, LDL 콜레스테롤이 130 mg/dL 이상인 경우 3.1%이었다. 중성 지방이 130 mg/dL 이상인 경우 5.0%였고, HDL 콜레스테롤이 낮은 경우는 4.4%였고, 동맥경화지수가 4.0 이상인 경우는 12.1%였다. 2) 비만정도에 따라 수축기 혈압, 중성 지방, LDL 콜레스테롤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총 섭취 열량과 영양구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3) 비만도에 따라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에서 이상지질혈증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4) 고혈압은 2.1%에서 나타났으며 혈압군에서 BMI,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높았다. 5) BMI는 혈압,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비만도는 혈압, LDL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BMI는 총 섭취 열량과 섭취한 영양 구성 과 상관 관계가 없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기 않았다. 결 론: 6~7세에서 비만도가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이 높았다. 따라서 6~7세에서부터 비만증과 합병증에 대한 선별검사, 관리 및 치료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