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2007년 6윌부터 10월까지 제주도에서 양식장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제주도 동부 연안에 위치한 양식장 4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사육 용수, 양어 사료, 양식 넙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식품병원성 미생물 중 일반세균과 총대장균군 그리고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를 조사 하였다. 이번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동부지역은 집중적인 호우로 인해 전년보다 400 mm 이상의 많은 강우량을 나타내었다. 사육 용수의 검사결과 V.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가 빈번하게 검출되었고, 양어 사료의 경우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는 각각 $0{\sim}4.3{\times}l0^3$ CFU/ml, $0{\sim}2.7{\times}l0^4$ CFU/ml, $0{\sim}7.6{\times}l0^3$ CFU/ml 검출 되었다. 또한 양식 넙치의 미생물 검사 결과 적은 양이지만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가 검출되었고, 총대장균군과 E. coli Ol57:H7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번 조사 결과로 보아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는 양식장의 작업 환경이나 주변 환경 등의 환경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양식장의 위생관리에 작업자들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관련하여 수산물 위생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시스템을 도입하여 적용한다면 수산물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이 해결되어 제주도의 청정 브랜드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안전하고 깨끗한 수산물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was examined in four fish farms of Jeju east coast for sanitary indication of bacterial contamination such as heterotrophic bacteria,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total coliforms. The samples we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from June to October in 2007. Bacterial species of S. aureus, B. cereus and Salmonella spp. were frequently detected from the seawater of above fish farms.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0{\sim}4.3{\times}l0^3,\;0{\sim}2.7{\times}l0^4,\;0{\sim}7.6{\times}l0^3$ CFU/ml, respectively, from the fish feed used in all four selected farms. Additionally,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 were detected in olive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f these farms, however total coliforms and E. coli O157:H7 were not detected during our experimental period. For the production of microbiologically safe and healthy oliver flounder, proper quality control of feed, sanitation programs,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microorganism are essential practices, which required to include in the farm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