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c Impact of Contaminated and Noxious Sites : A Meta Analysis

오염-유해시설의 경제적 영향 : 메타분석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is paper reports a quantitative meta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s of localized noxious and contaminated sites. Using either hedonic property value or stated preference methods, economists have studied the effects of contamination or noxious activities, or the benefits realized from their elimination, on real estate prices at more than 40 sites. In support of wise public and private investments in environmental quality, most of these studies aim to inform decision makers about the benefits of remediation and cleanup. Their results vary considerably, but there has been no previous systematic effort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identify shared insights. This study uses established methods of meta analysis to identify points of agreement and differences in this body of literature. The studies are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site, modeling approach, geographic extent of impacts, data features, and other key factors that underlie their value estimates. The impact estimates are normalized as proportional effects on property values.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whether the estimated economic impacts of contamination or noxious activity differ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and whether anything general can be said about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site contamination and remediation. Bivariate, multivariate, and logit techniques are applied to the dat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erty value is the most sensitive to water base contamination, published case studies result in systematically greater environmental value than those in unpublished reports, and real estate markets show responses to environmental condition changes.

본 연구는 지역적인 오염 및 유해시설원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이다. 헤도닉 방법 또는 진술선 선호방식을 이용해서 경제학자들은 비환경적 시설과 오염시설로 인한 경제적 영향 분석과 그런 시설의 제거로 인해서 실현되는 편익을 부동산가격 변동을 통해서 연구해왔다. 환경에 대한 공적 또는 민간 투자에 대한 정책 지원을 위해서, 이런 연구들의 목적은 정책결정자에게 환경개선과 오염시설 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편익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각 연구들의 결과는 매우 상이하게 달랐다. 그러나 이런 다른 결과가 나타나게 되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없다. 이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이용하여 기존 연구들에 왜 차이점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은 메타분석법에 따라서, 연구 방법론, 오염원의 특성, 오염원 개선계획, 그 밖의 요소로 특성화되었다. 또, 각 연구의 오염시설로 인한 부동산 가격 영향은 부동산 평균가격대비 퍼센트로 표준화되었다. 이원소 분석법과 다원소 분석법, 그리고 로짓 모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수자원에 기초한 오염원 영향 분석에서 부동산가격의 변동폭이 컸고, 출판된 논문의 연구 결과가 비출판 논문의 결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 로짓분석을 통해서 기존연구들의 통계적 유의성은 오염원 청소에 대한 단계에 따라서 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