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가 과학 진로 지향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view with Scientist and Engineer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Image of Scientists

  • 발행 : 2008.06.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역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 수행 평가가 과학 진로 지향도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 이공계 학생들은 인터뷰를 실시하고 파워포인트 프리젠테이션을 만들어서 수업 시간에 발표를 했고, 프리젠테이션 후에는 교사가 그 내용에 관련된 코멘트를 하였다. 프리젠테이션 발표는 매 수업 시간마다 한 명씩 1년 동안 계속되었다. 이 수행 평가를 시작하기 전에 과학진로지향도 검사와 과학자 이미지 검사(DAST; Draw-A-Scientist-Test)를 실시하였고, 프리젠테이션이 끝난 후 같은 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과학진로 지향도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세부 영역별로는 '과학 학습 선호'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의 진로 결정이 이미 상당히 견고하게 자리 잡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학자 이미지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p< 0.01)가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정형화된 과학자의 이미지가 인터뷰 수행 평가를 통해 줄어들었다는 것으로 과학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view with a scientist and engineer on service performance assessment on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image of scientists. Science track students in the 11th grade carried out the interviews and made powerpoint presentations. After the students' presentation in the chemistry class, the teacher made comments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Students gave presentation in each class for a year. Before starting this assessment, students took science career orientation questionnaire and DAST (draw-a-scientist-test). These two tests were conducted again at the end of the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 for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reference for science learning' categor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areer decision of a high school student has already been fixed rigid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between pre- and post-test on the image of scientists. This demonstrated that the stereotypic image for a scientist was reduced by the interview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at, students came to have an affirmative perception of scientists on servi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통계연보(1996).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통계연보(2006). 교육인적자원부
  3. 명전옥(1986). Factors affecting science track choice of Koream high school students.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63-72
  4. 여상인(1998).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관한 초중등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1-10
  5. 양희진(2004). 중학생의 진로교육 인식 조사 및 중학교 3학년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유미현, 김소연, 홍훈기(2007). 과학 잡지를 활용한 수업이 과학 비전공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평가연구, 10(1), 211-230
  7. 육동은(2004). 중학교 교사들의 진로교육 인식 조사 및 중학교 1학년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윤진, 박승재, 명전옥(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9. 윤진(2007). 학생들의 과학진로 산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570-582
  10. 윤혜경, 김형석, 정형식, 김정연(2005). 종합적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적용 및 효과 분석. 교과교육공동연구 연구보고서
  11. 윤혜경, 김형석, 정형식, 김정연, 김명순(2006). TV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진로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18-526
  12. Barman, C. R.(1997). Students' Views of Scientists and Science: 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Science and Children, 35(1), 18-23
  13. Chambers, D. W.(1983). Stereotypic images of the scientists: The draw-a-scientist test. Science Education, 62(2), 255-265
  14. Finson, K. D. & Beaver, J. B. & Cramond, B. L.(1995).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62.x
  15. Fort, D. C. & H. L. Varney.(1989). How Students See Scientists: Mostly Male, Mostly White and Mostly Benevolent. Science and Children, 26(8), 8-13
  16. Gerbner, G. & B. Linson.(1999). Images of Scientists in Prime Time Television: A Report for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for the Cultural Indicators Research Project. Unpublished report.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Commerce
  17. Gottfredson, L. S.(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545-579 https://doi.org/10.1037/0022-0167.28.6.545
  18. Mason, C. L., Kahle, J. B. & Gardner, P. L. (1991). Draw-a-scientist test: future implication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1, 193-198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1.tb12078.x
  19. O'Maoldomhnaigh, M & Mhaolain, V. N.(1990). The perceived expectation of the administrator as a factor affecting the sex of scientists drawn by early adolescent girl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8, 69-74 https://doi.org/10.1080/0263514900080106
  20. Rahm, J. & P. Charbonneau.(1997). Probing stereotypes through students' drawings of scientist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5(8), 774-78 https://doi.org/10.1119/1.18647
  21. Sheffield, L. J.(1997). From Doogie Howser to Dweebs-or How We Went in Search of Bobby Fischer and Found that We are Dumb and Dumber.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2(6), 376-79
  22. Song, J. W. & Kim, K. S.(1999).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The Images of the Scienti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9), 957-77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255
  23. Woolnough, B, E.(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 659-676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