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 및 화학전공교사의 사고유형 조사

An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and Survey of Chemistry Major Teachers' Thinking Types Related to Dilute Solutions Properties

  • 발행 : 2008.06.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의 설명과 화학전공 교사들의 사고유형을 조사하여 학생들이 가지는 어려움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8종의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사들이 어떤 설명 유형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교사들의 사고 유형을 알아보았다. 설문지 분석 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교사들의 사고 유형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의 설명들이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기에는 불충분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교과서 그림과 설명이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화학전공 교사들은 자신의 사고 유형과 다른 상황이 제시되면 인지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사고 유형이 견고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lanations of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and the diversity of chemistry major teachers' thinking types related to dilute solution properties for finding the sources of students' difficulties. Eight kinds of textbooks were analyzed, and the teachers' thoughts were searched by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inquiring teachers' preference of explanation types. We analyzed teachers' responses from individual interviews after the questionnaire to discern their deeper thought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xplanations of the textbooks were not clear enough to have scientific conceptions. The figures and explanations of the textbooks do not match either. It was also found that chemistry major teachers' thoughts were not solid when they suffered cognitive confliction by different situation with their thought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199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29호: 과학과 교육과정 [별책 9].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김경주(1993). 유전에 대한 과학전공 대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개념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은식(1993). 중학교 과학 '힘과 운동' 단원에 제시된 삽화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현희, 양기창, 김동욱, 백성혜(2006). 언 빨래가 마르는 현상에 대한 중등학교 화학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대한화학회지, 50(1), 65-78 https://doi.org/10.5012/jkcs.2006.50.1.065
  5. 백성혜, 조미정(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3-786
  6. 신윤철, 임동원(1993). 교과서의 삽화가 갖추어야 할 조건. 초등교육학회지, 3, 5-20
  7. 윤희숙, 정대홍(2006). 끓는점 오름 현상에 대한 학생, 예비교사, 화학교사의 개념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805-812
  8. 이혜정, 정진수, 박국태, 권용주(2004).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18-1027
  9. 정경수(1999). 물관체관, 확산삼투 및 증산증발의 개념 정의에서 생기는 중등생물교사들의 오개념 조사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조희형, 박승재(1994). 학습론과 과학교육. 과학교육사: 서울
  11. 하성자, 김범기, 백성혜(2005). 어는점 내림 현상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88-97
  12. 홍미영, 전경문, 이범홍, 이양락(2002).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II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204-213
  13. Abraham, M. R., Grzybowski, E. B., Renner, J. W., & Marek, E. A. (1992). Understandings and misunderstandings of eighth graders of five chemistry concepts found in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2), 105-120 https://doi.org/10.1002/tea.3660290203
  14. Nakhleh, M. B. & Mitchell, R. C. (1993). Concept learning versus problem solving: There is a difference. Journal of Chemistry Education, 70, 190-192 https://doi.org/10.1021/ed070p190
  15. Smith, K. J. & Metz, P. A. (1996). Evaluating Student Understanding of Solution Chemistry through Microscopic Representations. Journal of Chemistry Education, 73, 233-235 https://doi.org/10.1021/ed073p233
  16. Pinarbasi, T. & Canpolat, N. (2003) Students' Understanding of Solution Chemistry Concept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0(11), 1328-1332 https://doi.org/10.1021/ed080p1328
  17. Sanders, M. (1993). Erroneous ideas about respiration: The teacher facto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8), 919-934 https://doi.org/10.1002/tea.366030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