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학년 과학 탐구 단원의 맥락에서 모델구성과 규칙발견을 통한 명시적 수업이 과학의 본성의 관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odel Construc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Activities on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Context of Science 10 Inquiry Unit

  • 발행 : 2008.12.30

초록

본 연구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활동들인 암상자 활동과 정육면체 활동을 가지고 수업을 한 후, 학생들의 관점의 변화를 알아본 것이다. 이 활동들이 과학 이론의 정의, 과학 지식의 변화가능성, 과학 가설, 이론, 법칙의 차이, 모델 형성, 그리고 실험 및 조사에서 상상력과 창의성의 필요에 대한 이해를 향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내용들은 10학년 과학 탐구 단원에서 강조하는 요소들이다. 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변화를 살펴 본 결과, 2명은 수업 후 전문가적인 관점을 가진 반면, 다른 두 명은 여전히 초보적인 관점에 머물렀다. 이 연구는 암상자 활동과 정육면체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학생에 따른 차이는 수업 방법, 학생들의 기존 지식 및 동기 부여와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 활동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개선은 이 활동들이 직접 과학 지식의 본성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과학 지식의 변화가능성과 실험 및 조사에서 창의력과 상상력의 필요는 거의 모든 학생들에 의해 전문가적 관점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서 그 요소를 포함한 수업 자료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any change in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NOS) after lessons through the activities of model construc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The instrument used to examine NOS views was the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VNOS). Four students' responses on VNO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were analyzed. The two levels of their views, novice and expert, were judged by the authors based on criteria set by several science educators. The instruction consisted of six hours of the so-called black box and cube activities developed for model construc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respectively. Students' views were at the novice level in definition of scientific theory,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difference of hypotheses, theories and laws, model construction, and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experiments and investigations. Students' views on NOS knowledge such as model and theory have improved for two students after instruction. The improvement seemed to be due to an explicit approach using the activities of model construc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The factors of changes and no-changes of views on NO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in terms of improvement of the view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2. 김경순, 노정아, 서인호, 노태희 (2008).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 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지, 28(1), 89-99
  3. 김미경, 김희백 (2007). 고등학교 생물 교과의 개방적 참탐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4), 521-535
  4. 김준예, 전은경, 백성혜 (2007). 과학 교과서 및 과학 교사, 고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09-817
  5. 김지영, 강순희 (2007). 가설 연역적 탐구 실험이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의 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169-179
  6. 나지연, 장병기 (2005). 과학 연극 수업이 과학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4(5), 558-570
  7. 박종원, 김두현 (2008). 과학의 본성 지도 자료 개발과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69-179
  8. 임희준, 여상인 (2006). '생활속의 화학' 강좌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신념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5(4), 374-382
  9. 조정일 (2008). 과학의 본성의 측면에서 10학년 과학의 탐구 단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85-695
  10. 최경희, 조희형 (2002).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2), 105-113
  11. 최승희 (2007). 10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의 본성 내용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 Bartholomew, H., Osborne, J. & Ratcliffe, M. (2004). Teaching students "Ideas-About-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 655-682 https://doi.org/10.1002/sce.10136
  14.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f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https://doi.org/10.1002/tea.10036
  15. Lederman, N. G. and Abd-El-Khalick, F. (1998). Avoiding de-natured science: Activities that promot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McComas, W. F.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6.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https://doi.org/10.1002/tea.10034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18. Park, J. (2007). A study of new model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roug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A proposal for a synthetic view of the NO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2), 153-167
  19. Sandoval, W. A. & Morrison, K. (2003). High school student's ideas about theories and theory change after a Biological Inquiry Uni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4), 369-392
  20.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https://doi.org/10.1002/sce.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