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n Scientific or Technological Workplaces and Relevant Professions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와 직업에 대한 인식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awareness on the scientific and/or technological workplaces and relevant professions in terms of accuracy, diversity and complexity. Participants were 185 7th-, 192 9th-, and 198 10th-graders in Seoul, Daegu, and Gwangju.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ideas about scientific and/or technological workplaces were general in nature and were stereotyped as certain workplaces such as a laboratory, factory and garage. Their idea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grade in view of complexity. Many students also answer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ir ideas about scientific and/or technological workplaces were mass media and/or school education. The students' examples of scientific and/or technological professions were stereotyped as some professions, and the number of examples were very small. Students perceive the scientific professions accurately, but they have a vague perception of the technological profession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다양성, 정확성, 구체성 측면에서 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와 직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연구 대상은 서울, 대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185명, 중학교 3학년 192명,고등학교 1학년 198명이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에 대한 이미지는 주로'일반적 관점'이었고, 실험실, 공장, 정비소 같은 몇 가지 장소에 편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구체성 측면에서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에 대한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대중 매체나 학교 교육 등을 제시했다. 학생들이 제시한 과학 및 기술 관련 직업 예시들은 몇 가지 직업에 편중되어 있었고, 그 수도 적은 편이었다. 학생들은 과학 관련 직업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기술 관련 직업에 대해서는 모호한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한중, 전경문, 노태희 (2002).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1(2), 289-296
  2. 공영주, 장현숙, 최경희 (2006). 양성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의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73-390
  3. 교육부 (1997). 제 7차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4. 김희경, 송진웅 (2003). 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중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54-264
  5. 류창렬 (2000). 기술 및 관련 용어에 관한 어의학적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46-57
  6. 양미경, 김소연, 여성희 (2005). 제 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3), 338-349
  7. 여상인 (1998).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관한 초-중등 학생의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1-10
  8. 윤진, 박승재, 명전옥 (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9. 장명덕, 이명제 (2004).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18-1130
  10. 조희형 (1998).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1. 진로교육학회 (1999).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교육과학사
  12. 진미석, 윤형한 (2002). 이공계 기피현상과 고등학생 진로지도. 한국진로교육학회지, 15(2), 1-21
  13. 최경희 (1995). 중.고등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관련된 문제와 STS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73-79
  14. 홍미영, 정은영 (2004).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수업에 반영된 STS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59-667
  15. Finson, K. D., Beaver, J. B., & Cramond, B. L. (1995).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62.x
  16. Laugksch, C. R. (2000). Scientific literacy: A conceptual overview. Science Education, 84(1), 71-94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1)84:1<71::AID-SCE6>3.0.CO;2-C
  17. Liu, C., & Yager, R. E. (1996).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lban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8. McComas, W. F. (1999).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Scherz, Z., & Oren, M. (2006). How to change students' imag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Education, 90(6), 965-985 https://doi.org/10.1002/sce.20159
  20. Shamos, M. H. (1995). The myth of scientific literacy. Rutgers, NJ: Rutgers University Press
  21. She, H-C. (199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 related to current science textbooks in Taiw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4(4), 283-294 https://doi.org/10.1007/BF02211260
  22. Simpson, R. D., Koballa, T. R., Oliver, J. S., & Crawley, F. E. (1994). Research on the affective dimension of science learning.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211-234).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3. Smith, W. S. (1987). Foward: The search for excellence in science teaching and career awarenes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81723)
  24. Song, J. W., & Kim, K. S. (1999).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The image of the scienti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9), 957-977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255
  25. Weber, S., & Mitchell, C. (1996). Drawing ourselves into teaching: Studying the images that shape and distort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ing Education, 12(3), 303-313 https://doi.org/10.1016/0742-051X(95)00040-Q
  26. Woolnough, B. 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6), 659-676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605
  27. Yager, R. E. (1993).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3), 145-15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13.x
  28. Ziman, J. (1980).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and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