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LCD Color Display Performance Based on AAPM TG 18 Protocol : Decision of Quality Control and Calibration Period

판독용 LCD 컬러 모니터 장치의 성능 평가 - 성능 평가 및 Calibration 주기 결정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to decide a quality control and calibration period of LCD display devices used for reading diagnostic images. Materias and Methods: The assessment test of 20 flat panel LCD color display devices used for reading diagnostic images were performed based on AAPM TG 18 protocol over the total six sessions at one month intervals from three months after primary calibration, in terms of geometric distortion, reflection test, luminance response evaluation, luminance uniformity, resolution, noise, veiling glare and chromaticity test. Results: The results of geometric distortion, reflection test, luminance uniformity, resolution, noise, veiling glare and chromaticity test were within the criteria recommended by AAPM TG 18, except for luminance response evaluation. In the measured luminance deviation of luminance response evaluation, 4(25%) of 20 display devices were passed a criterion from four months after calibration, and 11 (55%) were passed from eight months. Also in the contrast response of the luminance response evaluation, 1(5%) display device was passed a criterion from four months after calibration, and 3(15%) were passed from eight months. Conclusion: Considering the passing deviation after calibration, the time required and a manpower, the quality control and calibration period of LCD display devices used for reading diagnostic images should be a three months and six months after calibration.

목적: 판독용 모니터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불필요한 시간 및 인력 등을 줄이고 판독의 최적화 유지와 모니터의 upgrade 시기, 그리고 교체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수준의, 일정기간의 성능평가 관리 주기 및 calibration 주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판독용 LCD 컬러 모니터(CCL350i, Totoku, Japan) 20대를 대상으로 2007년 3월부터 8월(첫 calibration 후 3, 4, 5, 6, 7, 8개월째)까지 매달 1회에 걸쳐 한 달 주기로 총 6회의 성능 평가를 하였다. 성능 평가에 사용된 측정 도구는 휘도계(DTP 94 39630, X-Rite Inc. U.S.A.)와 조도계(LX-101 Q031871, Lutron, U.S.A.) 그리고 모니터 성능관리 프로그램인 AAPM TG 18 protocol를 이용하였다. 성능평가 항목은 기하학적 왜곡(geometric distortion), 반사 테스트(reflection test), 휘도 반응 평가(luminance response evaluation), 휘도 균일도(luminance uniformity), 분해능(resolution), 노이즈(noise), 베이링 그레어(veiling glare), 색도(chromaticity) 등 8개 항목을 포함하였다. 결과: 기하학적 왜곡 평가와 반사 테스트, 휘도 균일도 테스트, 분해능, 노이즈 평가, 베이링 그레어 테스트, 색도 테스트 등은 AAPM TG 18에서 권고하는 기준치에 모두 부합되었다. 휘도반응평가 중 예측되는 최대 휘도와 관측되는 휘도의 편차 항목에서 4개월째부터 25%(4대)의 모니터가 8개월째까지 기준 편차를 벗어나기 시작하였으며, 8개월째에는 다른 모니터 7대에서도 편차를 보이기 시작하여 전체적으로 55%(11대)의 모니터에서 기준 편차를 벗어나고 있었다. 또한 대조도 반응의 편차 항목에서 4개월째부터 예측되는 최대 휘도와 관측되는 휘도의 편차의 기준치를 벗어나기 시작한 4대의 모니터 중 5%(1대)에서 4개월째부터 8개월째까지, 또다른 2대는 8개월째부터 편차를 보여 전체적으로 8개월째에는 15%(3대)의 모니터에서 기준 편차를 벗어났다. 결론: 성능평가의 주기는 calibration 후 4개월째부터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결과와 모니터 수 그리고 성능 검사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고려할 때 3개월에 한번씩 평가함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calibration 주기는 8개월째부터 50% 이상에서 편차를 보인 결과 및 성능평가 주기를 고려할 때 calibration 후 6개월을 주기로 calibration을 다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