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Education, Classified with Parents' Upbringing Styles

학부모 양육태도에 따른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 Won, Eun-Sil (Wonchon Elementary Kindergarten) ;
  • Oh, Jong-Chul (Kunsan National University,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is thesis was projected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the recongnition of the talented children education, classifying with parents' up-bringing styles, and it classified parents' upbringing styles with affection, refusal, and autonomy, aiming at 189 parents whose children are enrolled in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at three urban districts, J City, G City, and I City, and four rural districts, J County, M County, O County, and I County, and investigated the recongni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education,, basing on four kinds of inclin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important to activate parent educa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to help parents, who bring up children with refusal attitude, to give their children sufficient affection, to offer children the chances to express freely and explore, to give children possible permission, and to accept children completely, Second, the cultivated experts with specialized culture and disposition are necessary to grasp the peculiarity of talented children in respective fields. Third, the establishment of the expert talented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research is necessary Fourth, at the national level, no-fee education for the talented children has to be carried into effect, the national talented children education agencies have to be established widely, researches for the talented children have to be established, the experts for educating talented children have to be brought up, and research expenses have to be supplied to respective talented children education agencies.

본 연구는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3군데 J시, G시, I시와 농촌지역 4군데 J군, M군, 0군, I군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에 재학 중인 유치원생의 학부모 289명을 대상으로 학부모 양육태도가 애정적, 거부적, 자율적, 통제적인지를 분류하고 애정적-거부적, 자율적-통제적의 두 대립 성향에 따라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재아를 위한 부모교육을 활성화하고 거부적 양육태도를 가진 부모들이 자녀에게 충분한 애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해 주고, 자녀에게 자유로운 표현과 스스로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녀에 대해 허용감을 주고 완전히 수용해 주는 양육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아동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각 분야의 영재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전문적 소양과 자질을 갖춘 각 분야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소 성격의 전문 영재교육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 넷째, 국가적 차원에서 영재교육을 위해 무상교육 실시, 국립 영재교육기관 설립 확대, 영재교육 연구를 위한 연구소 설치 및 영재교육 전문가 육성, 각 영재교육관에 연구비 지원 등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겠다는 결론을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초.중등학교교육과정
  2. 김미숙 (1985) 만5세 유아의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과 창의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민경혜 (2006) 영재자녀 학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인천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신명자 (2003). 영재 유아교육의 실태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양소희 (2006). 영재 교육기관과 일반 교육기관 아동 어머니의 교육관과 양육태도 및 영재 인식에 대한 연구, 강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지선 (2006).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동작성 가족화 특성,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전경원 (2003). 영재교육학, 학문사
  9. 전경원 (2000). 한국의 새천년 영재교육학, 학문사
  10. 조석희 (1995). 영재성과 영재교육의 개념, 서울, 영재교육
  11. 지현정 (2007).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순자 (2005).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 도덕성 관계, 국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한국교육개발원 (2001). 영재교육의 실천방안, 서울:교육개발원
  14. Bloom. B. S. (1985). Developing tala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o Books
  15. Mc Gillcuddy-De Lisi, A, V. (1985). The relation between child-rearing beliefs and the home environment in a simple of adolescent mothers family. Realations, 38, 317-322
  16. Schaete ,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nal and Social Psychology, 59, 226-235. https://doi.org/10.1037/h0041114
  17. Gross, M. U. M(1992). The use of radical acceleration in cases of extreme intellectual precocity. Gifted Child Quartarly, 36, 91-99 https://doi.org/10.1177/00169862920360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