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conomic Benefit for Port Hinterland's Investment in Busan New Port

부산항 신항 켄테이너터미널 배후단지 조성사업의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이기환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
  • 황두건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
  • 김명희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economic benefits for the investment of port hinterland. This research has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by calculating the investment of port hinterland. The key factor for the economic benefits for the hinterland is the utilizing throughputs. This demand is influenced by the throughput in the port. However the data is different between the different organizations. The positive opinions are prevailed about constructing of port hinterland by a optimistic view about throughput. However this paper analyzes the economic benefits by a pessimistic point of view.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ort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does not have economic benefit for investment and the hinterland will face the overcapacity problem. We recommend that the plan for investment has to be considered the modification. Second, data of forecasted throughputs is an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on of hinterland's investment. The research for reliable forecasting of throughput has to be preceded for the pertinent evaluation of hinterland's investment.

본 논문은 부산 신항 배후단지에 대한 경제성평가로써, 항만 배후단지 투자에 대한 편익-비용분석을 이용한 실증분석으로 이루어졌다. 항만 배후단지 경제성평가를 위해 항만 배후단지 경유 물동량과 항만 물동량 중 항만배후단지경유비율 등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된 선행보고서를 살펴보면, 각 다른 항만물동량 추정치와 경유비율을 적용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보고서들은 항만배후단지 개발과 관련하여 낙관적인 관점에서의 물동량추정치와 경유비율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분석들과 달리, 부산신항 배후단지 경제성평가를 비관적인 관점에서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신항 배후단지 경제성평가를 위해 세 가지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경제성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세 가지 시나리오 모두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보수적 관점에서 파악하자면 만약 항만배후단지의 활성화에 의한 전략수요가 창출되지 않는다면 현재 계획된 배후부지 면적은 다소 크게 추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미래 수요추정을 기본으로 하여 편익이 산정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성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동량 예측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즉, 보다 정확한 배후단지 경제성평가를 위해, 무엇보다도 신뢰할 수 있는 물동량 예측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공신력 있는 국가 기관 및 국책 연구 기관등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