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pping USN Route by Integrating Multiple Spatial Parameters into Radio Propagation Model

다중 공간변수와 전파예측 모델을 통합한 USN 중계 경로망도 제작

  • 김진택 (대구소방본부 정보통신팀) ;
  • 엄정섭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Previous studies for routing In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s) appear to be unreliable due to the dependence on non-spatial data and the lack of map overlay analysis. Multiple spatial parameters and radio propag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integrated to deriv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value between route nodes and produce a highly reliable path map.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USN route subject to many different Influences (e.g. the specific effects of radio blocking factors such as the visible area, road area, cell duplicated area, and building density),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non-spatial modeling. The quantitative evidence concerning the USN route for individual cell as well as entire study area would be utilized as major tools to visualize paths in real-time and to select alternative path when failure or audition of route node occurs.

USN의 중계경로에 대한 연구는 주로 비공간 데이터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도 중첩법에 의한 공간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신뢰성에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간변수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전파 확산 예측모델과 연계하여 전계강도를 산출하고 이에 의거하여 중계망의 분포를 지도화하였다. 전파장애에 개입되는 다양한 공간 변수를 통합하여 제작된 컴퓨터 지도는 기존에 조사지점에만 국한된 통계 수치정보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시청각 효과를 이용하여 광역적인 중계망 변화 추이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 개별 셀과 연구지역 전체에 대해 전파중계망에 대한 정량적인 근거는 다양한 자료처리능력, 신속성을 바탕으로 지금까지는 불가능했던 전파 중계망에 대한 실시간 지도화 기능을 제공하였고 노드의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