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 Permissible Range of the Indicators to Manage Streetscapes by Dynamic Simulation - Focusing on Shape and Layout of Buildings -

동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도시가로경관 관리지표의 허용범위 연구 - 건축물 형태 및 배치를 중심으로 -

  • Kim, Doo-Wun (Yooshin Engineering Corporation) ;
  • Byeon, Jae-Sang (Dept. of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College)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두운 (㈜유신코퍼레이션) ;
  • 변재상 (신구대학 환경조경과)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 공학부)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As urban residents' standard of living has recently risen, efforts to improve urban landscapes have increased.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streetscapes to improve the urban landscape because they are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in city construction and urban landscap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indicators that manage streetscapes more accurately and realisticall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dynamic simulations considering shape and layout of buildings, the primary factors in streetscape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wo indicators to manage streetscape were investigated in previous studies: one to increase visual openness and the other to reduce visual overstimulation. These indicators had high correlation with scenic beauty. Therefore, increasing openness and reducing overstimulation are essential to improve streetscapes. 2. Two household tower type buildings should be arranged along roadsides to increase openness and scenic beauty. However, low tower buildings with two household are not suitable along roadsides because they create monotony and intervals are needed between buildings. 3. To increase openness, the angled arrangement of buildings is suggested $75^{\circ}{\sim}90^{\circ}(105^{\circ}{\sim}135^{\circ})$ for low buildings, $30^{\circ}{\sim}45^{\circ}(135^{\circ}{\sim}150^{\circ})$ for mid-sized buildings, and $75^{\circ}{\sim}90^{\circ}(105^{\circ}{\sim}135^{\circ})$ for high buildings. 4. To reduce overstimulation, the height and setback control regulations should be at an angle of less than $45^{\circ}$. This study suggests more accurate management guidelines by organizing the indicators that could effectively manage streetscapes and by overcoming limitations of reality shown in a static simulation.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1998) 도시경관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스카이라인 분석을 중심으로
  2. 과천시(2003) 과천시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서
  3. 김도년, 정재용, 정상혁(2003) 삼차원적 도시관리 수단으로서의 건축 물 높이기준 설정 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3): 169-176
  4. 김두운(2004) 동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가로경관 관리지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승주(2004) 도시경관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6. 김충식(1999)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평가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충식(2004) 경관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건축제어요소가 가로경관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충식, 이인성(2005) 건축제어요소가 가로경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4): 71-88
  9. 김한배(2003) 도시경관계획의 작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8(10): 213-230
  10. 박광수(2000) 환경영향평가서의 경관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1. 박찬용(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설정과 적용.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빛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변재상, 임승빈, 주신하(2007a) 초고층 랜드마크의 공간적 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성 분석: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4): 90-104
  14. 변재상, 정수정, 임승빈(1999) 도시가로경관요소가 시각적 선호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9-18
  15. 변재상, 조예지, 최형석, 김송이, 임승빈(2007b) 도시마케팅을 위한 도시이미지 관리방안 연구: 도시이미지 관리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정량적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5(4): 81-89
  16.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엄승빈(2007c) 도시 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1): 59-68
  17.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임승빈(2007d)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과천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3): 163-177
  18. 변재상, 최형석, 이정원, 임승빈(2006)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3):7-20
  19. 서울대학교(1999)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자연경관보전 및 경관형성 연구
  20.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한강연접지역 경관관리 방안 연구
  21. 서울특별시(1998) 조망가로조성 사업계획. 서울시립대학교
  22. 서울특별시(2000) 새서울 우리한강 기본계획.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3. 서울특별시(2001)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보전계획.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4. 서울특별시(2003) 서울의 주요 하천변 경관개선 방안 연구
  25. 서정한(2003) 반구투영기법을 이용한 가로경관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신지훈(2003) 도시 경관계획 지표 연구: 건축물 규모 및 배치 지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연합뉴스(2007) '서울시 '세계디자인수도'로 첫 지정'. 2007년 10월 21일자보도자료
  28. 용인시(1997) 기흥읍 가로경관 형성기본계획
  29. 유경선(2001) Photography 사진 어떻게 찍을 것인가? 서울: 미진사
  30. 이인성, 김충식(2002) 도시경관 관리를 위한 가시율 분석기법의 개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9(4): 23-34
  31. 이창구, 김영하(2003) 재건축 아파트단지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5): 107-114
  32.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3. 임승빈(1998) 조경이 만드는 도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4.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5-18
  35. 임승빈, 신지훈(1995)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157-166
  36. 임승빈, 신지훈(1996)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심리적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9): 153-161
  37.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MDS에 의한 도시 간 이미지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38. 정대연(1992) 기초사회통계학. 서울: 백산서당
  39. 정성구(2002) CG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로의 공간의식과 물리적 구성요소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5): 91-98
  40.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18-30
  41. 정재희(2000) 이동속도의 변화에 따른 가로경관의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8(5): 15-25
  42. 조용현(2003) 서울시 가로녹시율 증진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3. 홍경구(2004) 도시 주거지 개발형태가 경관 선호에 마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홍선광, 김영하(1997) 공동주택에 있어서 도시경관의 지표적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외논문집 13(4): 259-267
  45.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1995) Visual resource management manual 8410 and 8431. Bureau of Landscape Management (http://www.blm.gov/nstc/VRM)
  46. Institute of Environment Assessment and the Landscape Institute( 995) Guidelines for landscape and visual impact assessment. London: E&FN SOPN
  47. Stamps III, A. E.(1992) Bootstrap investigation of respondent sample size for environmental preferenc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5: 220-222 https://doi.org/10.2466/PMS.75.4.220-222
  48. Stamps III, A. E.(1993a) Validating Contextual Urban Design Photoprotocols: Replication and Generalization from Single Residences to Block Face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0: 693-707 https://doi.org/10.1068/b200693
  49. Stamps III, A. E.(1993b) Simulation Effects on Environmental Preferenc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8: 115-132 https://doi.org/10.1006/jema.1993.1033
  50. Stamps III, A. E.(1994) A Study in Scale and Character: Contextual Effects on Environmental Preferenc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42: 223-245 https://doi.org/10.1006/jema.1994.1070
  51. Stamps III, A. E.(1997) Some Streets of San Francisco: preference effects of trees, cars, wires, and buildings. Environment and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24: 81-93 https://doi.org/10.1068/b240081
  52. Stamps III, A. E.(2000) Psychology and the Aesthetic of the Built Environment.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