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of the Time Use Pattern by Internet Use: Analysis on the Korean Time Use Survey (2000, 2005)

인터넷 이용에 따른 생활시간 패턴의 변화: 2000년, 2005년 생활시간 조사를 활용한 통시적 분석

  • Kang, Nam-Ju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Hyu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artment of Commun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남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이재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오현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Published : 2008.02.14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test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proposed by Lee(2005) that claims the time use pattern as a whole has changed as new media is introduced-in this case, internet-in our daily lif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researches, confined to study whether time use for traditional media is displaced by a new media, have such a limitation as 'media isolationism' and resulted in incoherent conclusions. In order to verify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which explains the influence of internet use on daily activities with broad perspectives, this research employed two different method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ime use patterns of daily activities and media use behaviors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by using t-test. Second,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confirm that the difference of time use pattern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in many daily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time use pattern for daily activities has reorganized In the most of the age groups. Especially, in the young age groups, time reallocation by internet appeared more obvious than the equivalent old age groups.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이 일상생활에 도입되면서 전반적인 생활시간 패턴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관점에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새로운 매체가 등장했을 때 기존의 전통적 매체이용 시간에 대한 대체 혹은 보완 여부에만 주목할 경우, '미디어 고립주의'에 빠질 위험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못하다는 한계점도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인터넷 이용 행동이 일상적 활동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거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0년과 2005년도의 국민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이재현, 2005)에서 제안된 시간 재할당 가설을 검증, 보완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령대별로 인터넷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일상적 활동 영역 및 매체 이용 영역에서 나타나는 시간 소비량의 차이를 검정한 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활동 영역에 대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인터넷 이용 유무에 따른 생활시간 이용 패턴의 차이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2000년도와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한 2005년도의 경우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연령 집단에서 생활시간 패턴이 재조직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젊은 연령층일수록 시간 재할당 현상이 더 일찍, 더 뚜렷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