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안양천 수질개선에 대한 주민의 사회적 선호

Estimating of Social Preference of the Watershed Resident about the Anyangcheon Watershed Water Quality Improvement

  • 공기서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박두호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유진채 (충북대학교 농업환경생명대학 농업경제학과)
  • Kong, Ki-Seo (Agricultural & Scienc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 ;
  • Kong, Doo-Ho (Korea Institute of Water & Environment) ;
  • Yoo, Jin-Chae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Agriculture Life & Environment, Chungbuk National Univ.)
  • 발행 : 2008.03.15

초록

본 연구는 조건부가치평가법 중 이중양분선택형 질문을 사용하여 안양천 유역의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를 추정하였다. 선형로짓모형에서 전체 응답자의 지불의사액은 4,930원이었으며 서울지역 거주민과 경기지역 거주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조건부 시장을 잘 받아들였으며 가구당 월평균 3,860원에서 5,101원의 지불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값을 전체지역으로 확장하면 연간 약 83.0억원에서 109.7억원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정책결정자들이 향후 유역과 관련된 사업에서 의사결정과정에 유용한 연구과정과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double-bound dichotomous choice method as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is used to derive willingness to pay for the water quality at the Anyangcheon watershed. The linear random utility model show that value of improvement of the Anyangcheon watershed water quality is 4,930 won per house and month of the Seoul and Gyeong-gi area resident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Gyeong-gi area residents.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3,860 to 5,101 won),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month. The aggregate value of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amounts to approximately 83.0 to 109.7 billion won per year.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policy-makers by providing useful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related to watershed improvement proj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봉구, 조용성, 곽재은(2001) "팔당호 수질개선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자원.환경경제연구, 한국환경경제학회, 제10권, 제3호, pp 433-459
  2. 신영철 (1997). "이중 양분선택형 질문 CVM을 이용한 한강 수질개선 편익 측정" 환경경제연구, 한국환경경제학회, 제6권, 제1호, pp. 171-192
  3. 엄영숙 (2001). "만경강 수질개선 편익측정을 위한 조건부가치평가에 있어서 범위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pp. 387-412
  4. 엄영숙.김치영.유태혁.김춘식 (2001). "만경강 생태 하천 방문의도와 지불의사추정" 환경정책, 한국환경정책학회, 제9권, 제1호, pp. 81-100
  5. 유진채, 공기서, 박두호 (2004). "안양천 수질개선에 대한 주민의 사회적 선호" 2004 한국농업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농업경제학회, pp. 87-105
  6. 이기영(2006). 2005년 안양천 모니터링, 경기개발연구원, 안양시
  7. 이길성 (2007).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 기술개발,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수자원의 지속적확보기술개발사업, 서울대학교, 과학기술부
  8. 임윤택, 이재영 (2005). "도시 생태하천공원의 가치추정", 한국지역개발학회지, 한국지역개발학회 제17권, 제3호, pp. 95-110
  9. 장태구 (1997). "임의가치법(CVM) 을 이용한 환경재의 가치평가; 낙동강의 편익 산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한국지역개발학회, 제9권, 제1호, pp. 55-69
  10. Haab, T. C. and McConnell(2003),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MA, Edward Elgar
  11. Hanemann, W. M. (1989).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data: repl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71, No 4, pp 1057-1061 https://doi.org/10.2307/1242685

피인용 문헌

  1. Revealed Preference and Effectiveness of Public Investment i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s: An Application of the Count Data Model vol.8, pp.4, 2016, https://doi.org/10.3390/su804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