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Integrated Indicator System for Evaluating the State of Watershe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River Basin Management Using Factor Analysis

요인분석을 이용한 수계 관리 맥락에서 유역관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통합지수 개발

  • Kang, Min-Goo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Kwang-Ma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K-WATER)) ;
  • Ko, Ick-Hwa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K-WATER)) ;
  • Jeong, Chan-Yong (Hydrological Survey Cente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강민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이광만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고익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통합물관리연구단) ;
  • 정찬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량조사사업단)
  • Published : 2008.03.15

Abstract

In order to carry out river basin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state of the river basin and make site-specific measures on the basis of management goals and objectives. A river basin is divided into several watersheds, which are composed of several components: water resources, social and economic systems, law and institution, user, land, ecosystems, etc. They are connected among them and form network holistically.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watershed management was developed by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features of a watershed system. This methodology employed factor analysis to develop sub-indexes for evaluating water use management, environment and ecosystem management, and flood management in a watershed. To do this, first, the related data were gathered and classified into six groups that are the components of watershed systems. Second, in all sub-indexes, preliminary tests such as KMO (Kaiser-Meyer-Olkin)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and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were conducted to check the data's acceptability to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Third, variables related to each sub-index were grouped into three factors by consideration of statistic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These factors became indicators and were named,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cluded variables. In order to check the study results, the computed factor loadings of each variable were reviewed, and correlation analysis among factor scores was fulfilled. It was revealed that each factor score of factors in a sub-index was not correlated, and grouping variables by factor analysis was appropriate. And, it was thought that this indicator system would be applied effectively to evaluating the states of watershed management.

수계관리를 위해서는 수계의 상태를 평가하고 관리 목표를 바탕으로 수계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수계는 여러 개의 유역들로 나눠지며, 이들은 수자원, 사회 및 경제 시스템, 법률 및 제도, 사용자, 토지, 생태계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복잡하게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계 관리 정황에서 유역관리를 실시하기 위해서 유역의 관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평가지수는 이수 관리, 환경 및 생태계 관리, 홍수 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세부지표와 변수로 구성이 되었으며, 이들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선정되었다. 세부지수의 구성변수들을 선정하기 위하여 먼저 관련 자료들을 유역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수자원, 토지, 생태계, 사회 및 경제 시스템, 법과 제도, 사용자 등을 대분류 항목으로 설정하고 수집하였다. 둘 째, 요인분석에 적합한 변수들을 선정하기 위하여 KMO 표본 적합성 검사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셋 째, 선정된 변수들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세부지표로 그룹화하였으며, 각 세부지수에 대하여 3가지 요인들이 선정되었다. 이들 요인들은 세부지수의 세부지표가 되며, 포함된 변수들의 관계와 특성을 고려하여 세부지표의 이름이 지어졌다. 마지막으로 요인분석 결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변수들의 요인 부하량을 검토하였으며, 요인점수들 사이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점수들 사이에 상관성이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검토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 된 유역관리 평가지수의 구성변수의 선정과 이들의 그룹화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평가지수가 유역관리 평가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구, 김우구 (2005). "유역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통합평가를 통한 Network 개념의 수계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5호, pp. 73-80
  2. 강민구, 이광만 (2006).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호, pp. 59-68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059
  3. 강민구, 정찬용, 이광만 (2007). "요인분석 통계기법을 이용한 댐 운영에 대한 영향 요인 추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0호, pp. 769-781 https://doi.org/10.3741/JKWRA.2007.40.10.769
  4.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3). 물에 관한 국민여론조사
  5.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4). 한강유역조사
  6. 고익환 (2004). "유역 통합 수자원관리 기술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3호, pp.10-15
  7. 박두호, 윤석영 (2004). "유역통합관리의 구현을 위한과제. "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3호, pp. 16-20
  8. 박성제 (2005). "한국과 미국의 유역관리 비교평가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9. 오주삼, 임성한, 김현석 (2003). "교통특성에 따른 도로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 토목학회, 제23권, 제6D호, pp. 835-844
  10. 이길성, 정은성, 김영오 (2005).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건전화를 위한 통합관리 방안(II) : 예비타당성 계획."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11. 이길성, 정은성, 김영오 (2006). "도시 유역 관리를 위한 통합적 접근 방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2호, pp. 161-178 https://doi.org/10.3741/JKWRA.2006.39.2.161
  12. 이영일 (2002). 요인분석의 이해, 석정
  13. 임창수, 신재기 (2002). "삽교호유역의 수질자료를 이용한 군집분석 및 요인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2호, pp. 140-159
  14. 한승헌, 선승민, 류호동 (2003). "해외건설사업의 수익성 영향인자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2D호, pp. 235-247
  15. Cai X., McKinney D. C., and Lasdon L. S. (2002). "A framework for sustainability analysis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application to the Syr Darya Basin." Water Resour. Res., Vol. 39, No. 8, pp. 1085-1098 https://doi.org/10.1029/2001WR000214
  16. Global Water Partnership(GWP) (2002). IWRM Toolbox: A Toolbox to support IWRM, Global water partnership secretariat, Stockholm, Sweden
  17. Heathcote I. W. (1998).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8. Pearse P., Bertrand F., and J. MacLaren (1985). Currents of Change: Final Report of the Inquiry on Federal Water Policy. Queen's Printer, Ottawa
  19. Schramm, G. (1980). "Integrated river basin planning in a holistic universe." Natural Resources Journal, 20, pp. 787-805
  20. Sullivan C. A. (2002). "Calculating a Water Poverty Index." World Development, Vol. 30, No. 7, pp. 1195-1210 https://doi.org/10.1016/S0305-750X(02)00035-9
  21. US EPA (2005). Handbook for developing watershed plans to restore and protect our waters
  22. World Economic Forum(WEF) (2005). 2005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Cited by

  1. Evaluation of Basin-Specific Water Use through Development of Water Use Assessment Index vol.15, pp.3, 2013, https://doi.org/10.17663/JWR.2013.15.3.367
  2. Risk Assessment of Heavy Snowfall Using PROMETHEE - The Case of Gangwon Province - vol.15, pp.1,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1.87
  3.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water management resilience of mid-small scale tributaries vol.49, pp.2,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