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tern and Determinants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African Countries

아프리카의 인구변천 유형과 특성

  • Published : 2008.04.25

Abstract

Over the past four decades reproductive behavior has changed slowly in much of the African countries. The average total fertility rate has fallen from six or more to near five today. Between 1960 and 2000 the largest fertility decline occurred in such Northern African countries as Algeria, Libya, and Morocco. The mortality rate has decreased in most Africa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attern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African countries. At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fertility transition. In Africa, the total fertility rate has decreased from 6.59 to 4.85 between 1960 and 2000. The mortality rate has also decreased in most of African countries. It is also interesting to find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among African countries. In terms of infant mortality rate, Libya shows the lowest rate(17), while Mali and Somalia remain still high rate(142 and 133, respectively). This study tests a path model in which infant mortality rate acts as an intermediate variable between three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fertility rate.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bstantiate some of our hypotheses on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infant mortality rate, and fertility rate. The result also shows the indirect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fertility rate via infant mortality.

본 연구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인구변천 유형과 특징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프리카의 인구변천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아프리카 국가들의 출산력과 사망력이 지난 40년간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검토하고 있다. 분석결과 출산력의 경우 아프리카 지역은 최근까지도 비교적 높은 출산율을 보여 인구변천의 제2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또한 알제리, 리비아, 모로코 등 아프리카 북부 지역의 국가와 나머지 국가들이 인구변천 과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사망력의 경우에도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우선 영아사망율의 경우 리비아는 17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는 데 반해 말리와 소말리아는 각각 142와 133으로 매우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평균수명도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리비아와 알제리가 각각 71.5와 70.5로 가장 높은 수준이며 르완다는 39.9세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아프리카의 평균수명은 낮은 수준에 있다. 아프리카의 평균수명이 낮은 것은 여러 가지 설명이 가능하나 최근에 크게 확산되고 있는 에이즈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경제지표와 사망력 및 출산력의 관계는 대부분 예상했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관계의 유의성은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회경제지표 중 문맹률은 영아사망율과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도시화율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은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1970년을 제외하고는 통계적 유의성도 잘 드러나고 있다. 연구모형에서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영아사망률은 출산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영아사망률을 통하여 출산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비교적 잘 드러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섭.권태환 (2002) 인구의 이해 서울대 출판부
  2. 정성호 (2005) "개발도상국의 지역별 인구변천 추이" 한국인구학 한국인구학회
  3. Bongaarts, John (2003) "The End of Fertility Transition in the Developing World" World Development Report 2003 World Bank 2003 New York: Oxford Univ. Press
  4. Bulatao, R. A. (1984) "Reducing Fertility in Developing Countries: A Review of Determinants and Policy Leaders" World Bank Staff Working Paper
  5. Freedman, Ronald (1963) "Norms for Family Size in Underdeveloped Areas" Proceedings of Royal Society Vol. 159
  6. Hess, Peter N. (1988) "Determinant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Growth and Socioeconomic Progress in Less Developed Countries Praeger Publishers
  7. Hess, Peter N. (1988) "Determinant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Growth and Socioeconomic Progress in Less Developed Countries Praeger Publishers
  8. Population Division of the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of the United Nations Secretariat (2003)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2 Revision. Highlights New York: United Nations
  9. Shin, Eui Hang (1977) "Socioeconomic Determinant, Infant Mortality and Fertility: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is of 63 Selected Countries"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13: 398-412 https://doi.org/10.1080/00220387708421652
  10. World Bank (2003) World Development Report 2003 New York: Oxford Univ. Press
  11. World Bank (2003)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1960-2000(CD ROM) New York: Oxford Univ.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