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Resource Plants of the Mt. Geonji, Jeonju City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im, Seong-Gu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Park, Joon-Moh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Kim, Kae-Hwan (Faculty of Forest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임성구 (전라북도 산림환경연구소) ;
  • 박준모 (전라북도 산림환경연구소) ;
  • 김계환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Published : 2008.02.27

Abstract

The resource plants of the Mt. Geonji was listed 354 taxa; 92 families, 242 genera, 303 species, 48 varieties and 3 forms. 354 taxa listed consists of 205 taxa of edible plants(57.1%),234 taxa of medicinal plants(65.2%), 167 taxa of ornamental plants(46.5%) and 218 taxa of the others(60.7%).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2 taxa; Trapella sinensis var. antennifera in class IV, Iris ensata var. spontanea in Class II, 16 taxa(Salix glandulosa, Alnus hirsuta,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Mallotus japonicus, Ilex macropod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Vaccinium oldhami, Lysimachia barystachys, Fraxinus mandshuric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2 families, 23 genera, 28 species, 2 varieties, 30 taxa(Bromus unioloides, Phytolacca americana, Oenothera erythrosepala, Ipomoea hederacea var. hederacea, Aster pilosus, Erechtites hieracifoli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8.5% of all 354 taxa vascular plants. Wild plants disturbing ecosystem like Solanum carolinense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have been increasing. So, it needs continuing control and conservation measures on the plant ecosystem.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건지산 도시자연공원의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전주시 건지산 일대의 자원식물상은 92과 242속 303종 48변종 3품종으로 총 354종류가 확인되었다. 자원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에는 205종류(57.1%), 약용식물에는 234종류(65.2%), 관상창식물에는 167종류(46.5%), 기타용 식물에는 218종류(60.7%)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IV등급에 목련(식재)과 수염마름, III등급에는 호랑가시나무(식재)와 향나무(식재), II등급에는 꽃창포와 복자기(식재), I등급에는 전나무(식재), 잣나무(식재), 왕버들, 물오리나무, 종가시나무(식재), 애기괭이눈, 황매화(식재), 예덕나무, 대팻집나무, 사철나무(식재), 장구밥나무, 동백나무(식재), 정금나무, 까치수영, 들메나무, 광나무(식재)등의 16종류로 분석되어 총 22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큰이삭풀, 애기수영, 돌소리쟁이, 좀명아주, 개비름, 미국자리공, 다닥냉이,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가죽나무, 큰달맞이꽃, 미국나팔꽃, 도깨비가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기생초, 개망초, 붉은서나물, 방가지똥, 도꼬마리 등 12과 23속 28종 2변종으로 총 30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54종류의 관속식물 중 8.5%로 분석되었다. 이중 도깨비가지와 돼지풀은 환경부의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최근 들어 건지산 일대에 개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으로 이들의 세력 확장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와 대책방안이 요망된다.water 분획물에서 각각 49.24% 및 31.8%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랜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저지대의 육지지형이 화산활동 및 퇴적작용에 의해 내륙에서 해안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만들어졌음을 지시한다. 특히 시추코어 화산암의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는 제주도 동부 저지대 지역 대부분이 IV와 V 화산활동기 동안 분출된 200Ka 이내의 비교적 젊은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음을 지시한다. 이는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및 지형 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이며, 화산암류의 K-Ar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구분이 재고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추공에 근거한 화산 층서의 해석은 암석기재, 암석화학적 특징과 함께 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퇴비원료로 이미 지정('02. 12. 31)된 제약오니 및 화장품 오니를 과량으로 토양에 시용한 후 유해 유기화합물, 미소동물, 미생물 및 생물학적(지렁이) 유해성 검정방법의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기 거하여 고추를 재배한 포장에서 비료의 피해시험을 실시한 과 유해 유기화합물과 생물학적(지렁이) 유해성 검정방법은 앞으로 연구를 통해서 보완할 경우 상당히 활용 가능성이 있는 좋은 평가방법인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 반응시간에 따른 탈착효율은 10분 이내에 전체 탈착량의 80%이상이 탈착 되었으며 1시간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장 내 B세포 및 T세포를 증가시켰으나, 마우스 흉선세포에 대해서는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ESMR은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

Keywords

References

  1. 김계환, 황영희. 1987. 건지산 일대의 식생조사-목본식물을 중심으로-. 전북대 농대논문집 18: 100-104
  2. 김창환, 안득수, 김문숙, 정나라. 2006. 전주시 건지산의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0(2): 41-52
  3.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 - 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4. 박광우, 권영한, 최경, 오승환, 김동갑, 도재화, 태경환, 김주환. 2005. 덕유산 국립공원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1): 32-56
  5.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국립수목원. pp. 184
  6. 박완근, 백원기, 이우철, 안상득. 1997.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1): 64-85
  7. 백원기, 이우철, 박완근, 안상득. 1996. 한석산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2): 121-142
  8. 송주택, 정현배, 김병우, 진희성, 김계영. 1990. 한국식물보전(자원편). 한국자원식물연구소. pp. 858
  9. 안상득, 김수철, 이상래. 1994. 백두산 자원식물 조사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7(1): 53-61
  10.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 2004. 충청북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2): 122-134
  11.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pp. 1269
  12. 이우철. 1993. 우리나라 식물자원의 현황과 특수성. 한국식물학회 '93심포지엄. 자원식물의 탐색과 개발 및 활용전략. pp. 9-21
  13.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624
  14.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15. 이철희. 2000. 자생식물의 산업적 가치 극대화를 위한 방안. 농업산학협동 학술심포지움. pp. 3-21
  16. 정규영, 정형진, 남기흠, 박재호. 2005. 일월산(경북)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1): 131-147
  17. 조창구, 백원기, 이우철. 1999. 청옥산-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3): 240-252
  18. 허지순. 1985. 전주지역의 관속식물상과 분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4
  19.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pp.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