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QuickBird Imagery for the Production of Digital Map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QuickBird 영상의 활용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 윤희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 김윤관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토목공학과) ;
  • 박준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Recently according to supply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we take much interest in the update and the revision of digital map and thematic map based on the satellite images. This study analyzed the modeling accuracy for QuickBird imagery and produced the digital map on a scale 1 to 5000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find an exhibition digital map was analyzed the positioning accuracy for the presentation of the possibility and the utility in the production and the revision to the digital map using QuickBird imagery. In order to analyze accuracies of constructed data, the digital topographic maps of 1:5000 scale which were produced by Kore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 were used. As a result, the RMSE was calculated at ${\pm}2.207$ m and 2.39 m in x and y direction respectively and it is within the permissible accuracy required for mapping on a scale of 1 to 5000 on the mapping rule notifi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fully used in the field of large scale digital mapping and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in applied field of the production and the revision of digital map.

최근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제공이 현실화됨에 따라 위성영상을 활용한 수치지도나 주제도 제작 및 수정 갱신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본 연구는 QuickBird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모델링 정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대상지에 대한 축척 1:5,000 수치지도를 시범 제작하였다. 그리고 대축척 수치지도의 제작 및 수정 갱신 작업에 있어서 QuickBird 위성영상의 적용 가능성 및 효용성을 제시하고자 시범 제작된 수치지도에 대한 위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한 축척 1:5,000 수치지도를 기준으로 위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RMSE 성과가 X에서 2.207m, Y에서 2.397m로 공공측량의 작업규정 세부기준상 허용오차 이내로 나타났다. 이는 QuickBird 위성영상을 이용한 축척 1:5,000 수치지도의 제작 및 수정 갱신이 가능함을 제시하는 것으로 향후 시범 수치도화 지역의 확장을 통한 광범위한 정확도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기존 대축척 수치지도의 제작 및 수정 갱신 작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효성, 안기원 (2006), IKONOS 위성영상의 외부표정요소로부터 정합선 수립에 의한 DEM 생성, 한국측량학회지, 제 24권 제 4호, 한국측량학회, pp. 367-376
  2. 강준묵, 이용욱, 박준규 (2003), RPC와 GCP를 이용한 IKONOS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한국측량학회지, 제 21권 제 2호,한국측량학회, pp. 165-172
  3. 이재빈, 곽태석, 김용일 (2003), IKONOS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3차원 지형자료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 21권 제 4호, 한국측량학회, pp. 301-308
  4. 이효성, 신석효, 안기원 (2004), 수치지도를 이용한 IKONOS Geo-level 위성영상의 편의보정, 한국측량학회지, 제 22권 제 4호, 한국측량학회, pp. 331-338
  5. 김의명, 함창학 (2005), 위성영상의 에피폴라 기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25권 제 2D호, 대한토목학회, pp. 347-352
  6. 강준묵, 이철희, 이형석 (2002), 수치지도의 수정 및 갱신을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적용가능성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제 20권 제 3호, 한국측량학회, pp. 313-322
  7. 이창경, 우현권, 정인준 (2004), Quick Bird 정사영상을 이용한 지형도 갱신,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295-301
  8. Fraser, C. S. and Yamakawa, T. (2004), Insights into the Affine Model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Sensor Orientation, ISPRS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ISPRS, Vol. 58, pp. 275-288 https://doi.org/10.1016/j.isprsjprs.2003.10.001
  9. Di, K., Ma, R. and Li R. X. (2003), Rational Functions and Potential for Rigorous Sensor Model Recov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ASPRS, Vol. 69, No. 1, pp. 33-41 https://doi.org/10.14358/PERS.69.1.33
  10. Digital Globe (2006), QuickBird Imagery Products, Digital Globe, Longmont, http://www.digitalglobe.com/product/product_docs.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