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justment of 1st order Level Network of Korea in 2006

2006년 우리나라 1등 수준망 조정

  • 이창경 (군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 서용철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위성정보공학과) ;
  • 전부남 (국토지리정보원 측지과) ;
  • 송창현 (군산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e 1st order level network of Korea was adjusted simultaneously in 1987. After that, the 1 st order level network of Korea was adjusted simultaneously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2006. The levelling data were acquired by digital level with invar staff from 2001 through 2006. The 1st order level network consists of 36 level lines. Among them, 34 level lines comprise 11 level loops. Among 36 level lines, 4 level lines have fore & back error larger than the regulations for the 1st order levelling of NGII, Korea. Also, the closing error of 3 loops of level network exceed the regulation for the 1st order levelling of NGII. The standard error of fore and back leveling between bench marks(${\eta}_1$) are distributed between 0.2 $mm/{\surd}km$ and 1.7 $mm/{\surd}km$. The standard error of loop closing(${\eta}_2$) is 2.0 $mm/{\surd}km$. This result means that the 1st order level network of Korea qualifies for the high precision leveling defined by International Geodetic Association in 1948. As the result of the 1st order level network adjustment, the reference standard error($\hat{{\sigma}_0}$) of the level network was 1.8 $mm/{\surd}km$, which is twice as good as that of the 1st adjustment of level networks in 1987.

우리나라 1등 수준망은 1974년부터 1986년간 관측된 자료를 1987년 동시 조정된 바 있다. 이후,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전자레벨과 바코드 함척을 이용하여 1등 수준망에 대한 직접수준측량 실시하였고, 본 연구는 이들 관측자료 분석 및 수준망 조정 결과이다. 우리나라 1등 수준망은 총 36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34노선이 11개 폐합 환을 구성한다. 1등 수준측량 관측자료 중 4개 노선은 1등 수준측량 허용 왕복차를 초과하였으며, 3개 수준환은 허용 환 폐합차를 초과하였다. 수준점간 왕복차의 표준오차(${\eta}_1$)는 $0.2{\sim}1.7mm/{\surd}km$, 환 폐합차의 표준오차(${\eta}_2$)는 $2.0mm/{\surd}km$로 IGA의 고정밀 수준측량기준을 충족하였다. 1등 수준망은 1점(수준원점) 고정방식에 의한 망조정이 수행되었으며, 기준 표준오차($\hat{{\sigma}_0}$)는 $1.8mm/{\surd}km$로, 1987년 1등 수준망 조정의 기준 표준오차($\hat{{\sigma}_0}$)보다 2배 향상된 결과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지리원 (1987), 정밀 수준망의 조정에 관한 연구,보고서
  2. 국립지리원 (1988), 2등 수준망의 조정에 관한 연구, 보고서
  3. 이석찬, 조규전, 고영호, 이영진 (1987), 우리나라 1등 수준망의 조정, 한국측량학회지, 제5권 제2호, pp. 12-23
  4. 이석찬, 조규전, 이영진, 이창경 (1988), 우리나라 2등 수준망의 조정, 한국측량학회지, 제6권 제2호, pp. 1-9
  5. 이석찬, 조규전, 이창경, 최병길(1991),수준망 정보 시스템의 개발, 대한토목학회지, 제11권 제2호, pp. 39-49
  6. Bomford, G. (1980), Geodesy, Clarendon Press, Chap. 3
  7. Imakiire and Hakoiwa (2004), JGD2000(vertical) - The New Height System of Japan, Bulletin of the Geographical Survey Institute, Vol. 51. pp. 31-51
  8. Mikhail, E.M. and Grace, G. (1981), Analysis and Adjustment of Survey Measurements,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Chap. 6
  9. Pope, A. J. (1976), The Statistics of Residuals and the Detection of Outliers, NOAA technical report, NOS 65, NGS
  10. Vignal J. (1936), Evaluation de la precision d'une methode de nivellement, Bull. Geod, No. 49, pp. 1-159 https://doi.org/10.1007/BF03030172
  11. Young, G. M. (1988), The New Adjustment of the North American Vertical Datum (Article No. 23, NAVD88 Status Report), ACSM Bulletin, February 1988, American Congress on Surveying and Mapping, pp. 49-51
  12. Zilkoski D. B., Richards J. H. and Young, G. M. (1992), Result of the General Adjustment of the North American Vertical Datum of 1988, Surveying and Land Information Systems, American Congress on Surveying and Mapping, Vol. 52, No. 3, pp. 133-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