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ndard-Rainfall and Capacity of Intercepting Sewer to Control CSOs

CSOs 제어를 위한 기준강우 및 차집 용량 산정

  • 이정호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주진걸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The combined sewer overflows(COSs) which enters to river are involved with water pollution of rivers. Therefore, the standard capacity should be decided in proper standard considering water pollution density and characteristic of outflow. But in domestic, the standard capacity is no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outflows and is applied uniformly in all areas. The standard is triple of a maximum amount of sewage per one hour ; 3Q. The outflow of 3Q enters to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overflows enter to river. In this study, a standard rainfall is estimated to determine the capacity of intercepting sewer by statistical analysis of rainfall data and it is considered about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rainfall-outflow. The standard rainfall is analyzed through the data of Seoul. In the result the standard rainfall was 6.76mm of 4hr duration. The rainfall-outflows and CSOs are analyzed using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하천으로 유입되는 합류식월류수(Combined Sewer Overflows, CSOs)는 하천의 수질 오염에 영향을 끼치게 되며 월류량은 차집관거의 설계용량에 따라서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차집관거의 기준 용량은 강우 유출의 특성 및 수질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결정되어야한다. 그러나 국내의 차집관거 기준 용량은 일괄적으로 시간최대오수량의 3배로 책정되어있으며, 강우-유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모든 지역에 대하여 균일하게 적용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 특성을 고려하여 강우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차집관거의 기준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강우를 산정하였다. 서울지역의 평균개념의 확률강우량을 통하여 산정된 기준강우의 지속시간은 4hr이며 강우량은 재현기간 1.5년에 해당하는 6.76mm로 산정되었다. 또한 산정된 기준 강우를 적용하여 강우유출 특성 분석은 SWMM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CSOs를 계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특별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보고서", 2002.
  2. 환경관리공단, "도심지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및 분류식 우수관거 우수유출 기초조사 연구", 2002.
  3. Loganathan, G. V. and Delleur, J. W., "Effects of Urbanization on Overflows and Pollution Loadings from Storm Sewer Overflows: A Derived Distribution Approac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No. 7, pp. 857-865, 1984. https://doi.org/10.1029/WR020i007p00857
  4. Loganathan, G. V., Delleur, J. W. and Segarra, R. I., "Planning Detention Storage for Stormwater Management", Journal of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11, No. 4, pp. 382-398, 1985.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85)111:4(382)
  5. Behera, P. K., Papa, F. and Adams, B. J., "Optimization of regional storm water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5, No. 2, pp. 107-114, 1999.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9)125:2(107)
  6. Guo, Y. and Urbonas, R. B., "Runoff Capture and Delivery Curves for Storm-Water Quality Control Design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8, No. 3, pp. 208-215, 2002.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2002)128:3(208)
  7. 서울특별시, "하수관거조사 및 정비기본계획 보고서", 1998.
  8. Chow, V. T., Maidment, D. R. and Mays, L. W.,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pp. 140-155, 1988.
  9. 건설교통부, "지역적 설계 강우의 시간적 분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