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ic Expressed Comedy Costume in TV - Focused on -

골계미가 표현된 TV 코미디 의상 연구 - <개그콘서트>를 중심으로 -

  • Lee, Mi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Comedy costumes worn on the comedians/gag men express the information of the performances such as character's era, place, social rank, present environment, age, sex, occupation, emo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importance and mood in visual language. The comic is found when these informations are reversed, revealed, exaggerated or distorted. To analyse the TV comedy costumes, 5 subordinate concepts of the comic which are Body, Gender, Age, T.P.O.(Time, Place, Occasion) and Role could be identified, a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focused on (10 shows were select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years from 2003 to 2007) are as follows: Distorted and ugly body implies the resistance against the ideal body. Reversed or confused sex are usually expressed as men dressed in women, and these mean breaking the dichotomy between male and female, and coexistence of the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satirizing the social custom restricting women by moral rules.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 way of men's dressing in women have been changing keeping pace with the times. The discord between age and costume was often expressed with children's wear and childish props. This implies the liberation from the age role. The comic expressed from the inadequate costume for T.P.O. usually appeared with the costumes 20-30years behind the times. When there were discordance with the acts and acts expected from the outfit(appearance) also made an ironical laugh. The comics acquired by vulgarization and exagg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role(figures/occupation) were from the imitation and deformation of the objects in stereotypes, and through this dissolving the custom was under way.

Keywords

References

  1. Gassner, J. (1949). Producting the play. New York: Dryden, p. 118
  2. 김유경 (2002). 무대의상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이미지 연구-1990년 이후 무대의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3. 최수현 (1994). 복식의 미적범주: 르네상스.바로크 복식에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안선경.양숙희 (1995). 현대 복식에 표현된 추의 개념. 한국의류학회지, 19(2)
  5.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 복식, 37, pp. 103-118
  6.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pp. 369-392
  7.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윤희 (1998).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고현진 (2003).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최수현 (2003). 복식에 표현된 숭고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하지수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22
  12. 류근영.이효진 (2002). 만화 이미지가 표현된 후기산업사회 복식의 해학. 복식, 52(8)
  13. 박옥미.송정선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엽기현상-국내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복식, 54(2)
  14. 이영숙 (2001). Moliere의 희극에 나타난 의상 Ima- gery에 관한 연구. 服飾文化硏究, 9(3)
  15. 이영숙.김미혜 (1991). Shakespeare의 喜劇에 나타난 衣裳 imagery에 대한 硏究. 論文集, 28
  16. 이영숙 (2000). Moliere의 희극에 나타난 의상 이미저리에 관한 연구. 응용과학연구, 9(1)
  17. 조현정.간호섭 (2002). 미국 시트콤에 나타난 Life Style과 Fashion Style에 관한 연구. 디자인포럼21, 5
  18. http://www.conpia.com
  19. 이재원 (2006). 의사소통이론에 기댄 유머 텍스트의 분석 - 개그콘서트를 중심으로. 독어교육, 35, p. 126
  20. Wilson, E., & Goldfarb, A. (2006). Living Theater (3rd ed.). Boston: McGraw-Hill. pp. 52-53
  21. 최수현 (1994). 복식의 미적범주: 르네상스․바로크 복식에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22. Robinson, D. (2002). 거장의 생애와 예술 채플린 (한기찬, 역). 서울: 한길아트. (원서 1994년 발행), pp. 196-198
  23. 이재윤 (2001). 한국 민속극의 복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
  24. 이재윤 (2001). 한국 민속극의 복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6.
  25. 임혜경 (1982). 가면극에 나타난 해학의 상징적 조형화 연구-봉산탈춤에 등장하는 가면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석사학위논문, p. 14
  26. 임혜경 (1982). 가면극에 나타난 해학의 상징적 조형화 연구-봉산탈춤에 등장하는 가면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석사학위논문, p. 11
  27. 김호연 (2003). 한국 근대 악극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pp. 6-8
  28. 라온 (2007,7.4). 視[울다 웃다 80년] 3. 배삼룡. 자료검색일 2007,10.15, http://blog.naver.com/woori0903/ 150019618733
  29. 안영길 외 (2003). 미학 예술학 사전. 중판. 서울: 미진사, p. 279
  30. 안영길 외 (2003). 미학 예술학 사전. 중판. 서울: 미진사, p. 280
  31. 이어령 (1958). 諧謔의 미적 범주. 사상계, 6(11)
  32. 김동욱 (1970). 韓國文學에 있어서의 諧謔. 월간문학, p. 226
  33. 조동일 (1971). 韓國文學에 있어서의 滑稽. 國語國文學. 51, pp. 118-120
  34. 원명수 (1998). 滑稽의 槪念과 體系에 대한 考察-戱曲을 中心으로-. 韓國學論集, 25, pp. 8-11
  35. 신윤상 (1980). 한국인의 웃음. 서울: 태창문화사, pp. 273-302
  36. 안휘준 (1987). 한국풍속화의 발견: 한국의 미. 서울: 중앙일보사
  37. 손연희 (1988).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해학성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조은정 (1996). 조선조 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골계미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김민자 (2004a). 복식미학 강의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 216
  40. 김민자 (2004b). 복식미학 강의2 복식미 엿보기. 서울: 교문사, p. 12
  41.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8
  42. 이은영 (1996). 복식 의장학, 서울: 교문사, pp. 79-81
  43. 하지수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p. 73
  44. 하지수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p. 76
  45. 김민자 (2004b). 복식미학 강의2 복식미 엿보기. 서울: 교문사, p. 56, pp. 90-92
  46. 손병우 (2002). 풍자 바깥의 즐거움-텔레비전 코미디. 서울: 도서출판 한나래, p. 59
  47. Story, J. (1999).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박 모, 역). 서울: 현실문화연구. (원서 1993년 발행), p. 153
  48. 박근서 (2006). 텔레비전 코미디와 담론의 문화정치.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p.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