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ponse to Postmodern Fashion Advertisement and Advertising Effect

포스트모던 패션광고에 대한 반응과 광고효과

  • Choi, Sun-Hy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response to fashion ad and its effect between traditional ad and postmodern a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response to fashion ad and its effects according to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sponse to fashion ad on its effec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wo postmodern ads and one traditional ad were selected as stimuli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ostmodern advertisement was unique, impacting, hard-to-understand, sensory-stimulating, and fantastic,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advertising. 2) Consumers felt disgusted by confusion and shock coming from postmodern advertising, but at the same time, recognized its value as an advertisement and took more pleasure and fun from it. 3) Consumers with high sensation-seeking-tendency perceived postmodern ads more sensually and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o the postmodern ads. 4) While subjective, emotional response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s, sensory-stimulating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Thus, cognitive response should also be considered significant to form brand equity in long term.

Keywords

References

  1. 강두필. (2002). 한국의 포스트모던 광고−시각 색채 시공간 의 분절 및 해체−. 시각디자인학 연구, 9, 18−32
  2. 강명구. (1992). 포스트모던 광고의 상업미학. 광고연구, 봄 호, 290−298
  3. 김광수, 서경미. (2002). 광고의 파격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6(2), 99−121
  4. 김선희, 임숙자. (1996). 의복관여에 따른 광고에 대한 태도 효과에 관한 연구−청바지 광고의 표현 형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0(2), 298−310
  5. 김순아, 이영선. (1999). 소비자의 감각추구경향, 의복구매욕 구와 의복구매행동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5), 672−683
  6. 김완석. (1989). 광고의 판단차원에 관한 연구(II): 인지적 평 가와 감정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산업과 조직, 2(1), 44−66
  7. 김일주. (1995). 소비사회 포스트모던 광고 신세대간의 연계 성 구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8. 김혜정, 임영자. (1993). 포스트모더니즘 광고에 나타난 에 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복식, 21, 101−112
  9. 박은주, 양수미. (1996). 의류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 요 인과 구매의도와의 관계 연구. 복식, 29, 39−51
  10. 박재관. (1993). 포스트모더니즘 광고의 표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광고정보, 2월, 31−37
  11. 변상은, 김인숙. (1999). 부정적 소구광고의 효과−사회문제 를 주제로 한 잡지의류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7), 953−964
  12. 변정선, 이선재. (2001). 20대 여성의 감각추구성향과 의복태 도가 상표다양성 추구에 미치는 영향. 복식, 51(5), 135−145
  13. 성영신, 박은아. (1995). 광고에 대한 감정의 유형화: 유발된 감정과 느낀 감정. 한국광고학회, 광고학연구, 6(2), 7−49
  14. 송선희. (2005). 베네통 광고의 해체주의적 포스트모던 광고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9, 187−197
  15. 신혜봉, 임숙자. (2004). 캐주얼 의류광고의 평가가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2(4), 566−578
  16. 양윤, 정지현. (2006). 감정편익 일치성, 감정강도 및 제품범 주가 광고태도와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7(3), 331−349
  17. 오두범. (1996). 포스트모더니즘과 텔레비전 광고. 광고학연구, 7(1), 185−207
  18. 왕해련, 김용숙. (2005). 중국 신세대 여성들의 감각추구성향에 따른 의복행동. 복식, 55(3), 81−93
  19. 우석봉, 성영신. (2005). 비주얼의 기대불일치성과 표현독특성: 독창적 광고비주얼의 광고효과. 광고학연구, 16(3), 219− 250
  20. 유창조, 김광수, 진강균, 김철민, 이화자. (2001). 광고창의성의 구성 및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2(3), 125−143
  21. 윤승욱, 우소영. (2005). 광고가 유발한 감정 반응이 소비자 태 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 관여도와 브랜드 친숙도를 중심 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7(1), 7−38
  22. 이승희. (2005).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廣告)모델 이미지의 일치성(一致性)이 패션광고효과(廣告效果)에 미치는 영향 (影響). 패션비즈니스학회지, 9(4), 161−169
  23. 이현우, 조병량. (2005). 다의적 광고텍스트의 해석코드와 수 용전략: 디젤브랜드 '광고읽기'에 대한 질적 접근. 언론과학연구, 5(2), 342−382
  24. 정유진, 이은영. (1999). 감각추구성향이 의복탐색행동에 미치 는 영향에 있어 의복관여의 역할. 한국의류학회지, 23(4), 609−620
  25. 최선형. (1993). 의류제품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6. 하주연, 고애란, 정미실. (2005).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 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한국의류학회지, 29(5), 715−726.
  27. 홍희숙. (1999). 진 의류광고의 에로티시즘과 매력성 지각수 준에 따른 광고선호도 및 광고제품 구매의도의 차이. 복식, 42, 113−125
  28. 황병일, 김병희. (2003). 광고창의성의 차원에 따른 광고효 과. 광고학연구, 14(5), 255−272
  29. Anderson, S., Hedelin, A., Nilsson, A., & Welander, C. (2004). Violent advertising in fashion marketing.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8(1), 96−112 https://doi.org/10.1108/13612020410518727
  30. Berlyne, D. E. (1960). Conflict, arousal, and curiosity. New York: McGraw-Hill
  31. Edell, J. A. & Burke, M. C. (1987). The power of feeling in understanding advertising effe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421−433
  32. Homer, P. M. & Kahle, L. R. (1986). A social adaption explanation of the effects of surrealism in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15(2), 50−54
  33. Mehrabian, A. & Russel, J. A.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Cambridge, MA: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34. Raju, P. S. (1980). Optimum stimulation level: Its relationship to personality, demographics, and exploratory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 272−282 https://doi.org/10.1086/208815
  35. Jöreskog, K. G. & Sörbom, L. (1988). SPSS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 Chicago, IL: SPSS Inc
  36. McAlister, L. (1982). Variety seeking behavior: An interdisciplinary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 311−321 https://doi.org/10.1086/208926
  37. WGSN. (2007). Ad campaigns analysed: S/S 07. WGSN. 자료 검색일 2007, 4. 20, 자료출처 http://www.wgsn-edu.com/

Cited by

  1. The Effect of Design Originality in Fashion Window Display on the Attitudes Toward Fashion Brands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vol.63, pp.1, 2013, https://doi.org/10.7233/jksc.2013.63.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