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beris amurensis complex의 형태 변이 분석

Morphological Variation of Berberis amurensis Complex

  • 투고 : 2007.12.06
  • 심사 : 2008.03.10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B. amurensis complex를 구성하는 세 분류군, 매발톱나무(B.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섬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Nakai] 및 왕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를 대상으로 형태 변이 분석을 수행하여 이들에 대한 기존의 분류학적 견해를 논의하였다. 분류군 간에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조사된 22개 형질에 대한 변이 양상 조사 및 주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섬매발톱나무는 엽신의 길이와 폭, 엽정의 각도, 거치 간격, 절간 길이, 화서당 꽃의 수 등 여러 형질에서 나머지 두 분류군과 차이를 보였고, 왕매발톱나무는 엽정의 각도, 엽신의 폭과 길이 비에서 다른 두 분류군과 달랐다. 주성분분석 결과 엽신의 길이와 폭 및 엽정의 각도 등 잎의 형질이 분류군의 차이를 잘 반영하는 유용한 형질로 재확인되었으며, 절간의 길이와 화서를 구성하는 꽃의 수는 이들 종내 분류군들을 구분하는 새로운 식별형질로 밝혀졌다. 이들 세 분류군의 지리적 분포와 변이 양상 및 주성분분석 결과를 종합해 고려할 때 섬매발톱나무와 왕매발톱나무를 각각 변종으로 인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morphological variation was analysed to examine previous hypotheses on the taxonomy of B. amurensis complex which includes B.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Nakai and B.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The results from the univariational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es employing 22 putatively diagnostic characters indicate that 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is distinct from var. amurensis in the length and width of leaves, angle of leaf apex, distance between spinose teeth, length of internode, number of flowers per inflorescence, whereas B. amurensis var. latifolia is different from other varieties in the angle of leaf apex and leaf length/width ratio.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characters of the leaf including leaf width and length were the main characteristics to distinguish those three taxa. The evidence both from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es and cur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suggest that retaining the varietal status for the two taxa, B. amurensis var. latifolia and 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is reasonabl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림대학교

참고문헌

  1. Ahrendt, L. W. A. 1961. Berberis and Mahonia: a taxonomic revision. Bot. J. Linn. Soc. 57: 1-410. https://doi.org/10.1111/j.1095-8339.1961.tb00889.x
  2. Chung, T. H. 196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5.
  3. Tracheophyta. Ministry of Education, Korea (in Korean).
  4. Kim, Y.-D., S.-H. Kim, and L. R. Landrum. 2004. Taxonomic and phytogeographic implications from ITS phylogeny in Berberis (Berberidaceae), J. Plant Res. 117: 175-182.
  5.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6.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7. Lee, Y. N. 2006. News Flora of Korea. Kyo-Hal: Publishing Co., Ltd., Seoul (in Korean).
  8. Nakai, T. 1913. Not-Like ad plantas Japoniae et Cores IX. Bot. Mag. (Tokyo) 27: 31. https://doi.org/10.15281/jplantres1887.27.314_31
  9. Nakai, T. 1914. Plantae novae Coreanae et Japonicae. II. Report. Spec. Nov. Regni Veg. 13: 267-278.
  10. Nakai, T. 1936. Flora Sylvatica Koreana. 21: 71-79 (in Japanese). Schneider, C. K 1905. Die Gattung Berberis (Euberberis ). Vorarbeiten fur eine Monographie. Bull Herb Boissier Ser 2. 5: 33-48, 133-148, 391-403, 419-464, 655-670, 800-831.
  11. Stuessy, T. 1990. Plant Taxonomy.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Pp. 183-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