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in Cone, Seed, and Bract Morphology of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and A. koreana Wilson in Native Forests

분비·구상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구과(毬果), 종자(種子), 포침특성(苞針特性) 변이(變異)

  • Song, Jeong-Ho (Divis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Jung-Joo (Divis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ang, Kyu-Suk (Divis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송정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정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강규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Received : 2006.06.04
  • Accepted : 2008.08.13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Geographic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of cone, seed and bract morphology were examined in 8 populations of rare endemic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and A. koreana Wilson. Additionally we studied classification index to distinguish between the species by the method of discriminant analysis. Nested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as well a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in all 13 morphological traits. In the seed length, seed index, bract width, and bract index of A. nephrolepis and the bract width and index of A. koreana, variance components among populations were larger than those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In discriminant analysis, three traits (cone width, length of seed wing, and bract length) were found to be useful in discriminating A. nephrolepis from A. koreana. The optimal classification results of stepwise selection were discriminated length of seed wing and bract length.

소멸위기수종인 분비나무와 구상나무 8개 천연집단의 지리적 위치에 따른 구과, 종자 및 포침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의 구명과 단계적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이들 변수 중 수종간 식별에 도움을 주는 분류 지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Nested 분산분석 결과 구과, 종자 및 포침 특성 13가지 형질 모두에서 집단간 및 집단 내 개체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분비나무는 종자길이, 종자지수, 포침폭 및 포침지수 특성에서, 구상나무는 포침폭과 포침지수 특성에서 총 분산 가운데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이 집단내의 개체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분비나무와 구상나무의 식별을 위한 판별분석 결과 변별력을 갖는 주요 형질들은 구과폭, 종자날개의 폭 및 포침길이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변수증감법(stepdisc method)에 의한 단계적 판별분석에서 종자날개의 폭과 포침길이 인자의 최적결합으로 판별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영, 전명식. 1997. SAS 판별 및 분류분석. 자유아카데미. pp. 78.
  2. 김영두, 김삼식. 1983. 한국산 Abies속의 내외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62: 68-75.
  3. 인식. 1998. RAPD marker에 의한 국내 전나무류의 유전적 구조와 유연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99.
  4. 송정호, 이정주, 이갑연, 이재천, 김용율. 2007. 분비구상나무 천연집단의 침엽특성 변이. 한국임학회지 96(4): 387-392.
  5. 이석우, 김선창, 김원우, 한상돈, 임경빈. 1997. 희귀수종모감주나무 자생집단의 잎의 형태적 특성, 식생특성 및 유전변이. 한국임학회지 86(2): 167-176.
  6.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953.
  7. 이창복. 1987. 신고수목한. 향문사. pp. 331.
  8. 이철호, 신창호, 김규식. 2007. 우리나라 자생 소나무의 지역에 따른 침엽특성 변이.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4): 336-341.
  9. 장진성, 전정일, 현정오. 1997. 한국산 분비나무와 구상나무의 형질분석과 종간유연관계. 한국임학회지 86(3): 378-390.
  10.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연구소. 2007. 한라산의 구상나무. 제주도인새정보산업협동조합. pp. 183.
  11. 현정오, 김은식, 김갑태, 장진성. 1997.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존 및 서식지 복원을 위한 연구: 구상나무림을 중심으로. 식물환경과학의 발전방향 pp. 163-183. 교육부 농업과학심사평가위원회.
  12. Farjon, A. 1990. Pinaceae: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the genera Abies, Cedrus, Pseudolarix, Keteleeria, Nothotsuga, Tsuga, Cathaya, Pseudotsuga, Larix and Picea Konigstein: Koeltz Scientific Book.
  13. Hunt, R.S. 1993. Abies.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s.):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14. SAS Institute Inc., 1996.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12 SAS Institute, USA.
  15. Wilson, E.H. 1920. Four new conifers from Korea. J. Arnold. Arb. 1: 186-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