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rning Behavior of Flooring Materials in the Cone Calorimeter and Evaluation of Toxic Smoke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한 건축 바닥재의 연소거동과 가스유해성 평가

  • Lee, Jang-Won ;
  • Lee, Bong-Woo ;
  • Kwon, Seong-Pil ;
  • Lee, Byoung-Ho (Lab. of Adhesion & Bio-composites, Program in Environmental Materials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ee-Soo (Lab. of Adhesion & Bio-composites, Program in Environmental Materials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oong (Lab. of Adhesion & Bio-composites, Program in Environmental Materials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장원 (한국소방검정공사 기술사업본부, 위험물사업본부, 소방기술연구소) ;
  • 이봉우 (한국소방검정공사 기술사업본부, 위험물사업본부, 소방기술연구소) ;
  • 권성필 (한국소방검정공사 기술사업본부, 위험물사업본부, 소방기술연구소) ;
  • 이병호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 연구실) ;
  • 김희수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 연구실) ;
  • 김현중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 연구실)
  • Received : 2007.09.10
  • Accepted : 2007.10.11
  • Published : 2008.01.25

Abstract

The burning behaviors of board for floor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using cone calorimetry at an incident heat flux of $50kWm^{-2}$. Seven domestic flooring materials were used to observe the burning behavior of maximum heat release rate, total heat release and average heat release rate. The experimental data indicated that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flooring had higher release rate than the other flooring materials. Also, the mass loss of MDF flooring was higher than the other floors. When measuring the smoke production from burning, PE fiberboard flooring and PVC Plastic Resin Sheet showed higher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yield than the others. The average smoke release of both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through specific extinction area was similar. Toxic smoke measurement from flooring materials were determined by the mouse stop motion,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MDF flooring contains more toxic material than the other flooring materials.

건축 내장재 중 바닥재의 연소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열류량 $50kWm^{-2}$의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7종의 국산 바닥재를 이용하여 각각의 연소 거동을 최대 열방출률과 전체 열방출량 그리고 평균 열방출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실험한 결과 중밀도섬유판(MDF) 바닥재가 다른 바닥재에 비해 높은 열 방출 특성을 나타났다. 또한 MDF 바닥재는 연소 시 질량의 감소가 다른 바닥재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였는데, PE계 섬유판(PE fiberboard flooring)과 PVC계 plastic resin sheet에서 높은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광소멸면적을 통해서 가스 평균 방출량을 살펴보면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경향을 나타났다. 바닥재의 가스유해성 평가는 쥐의 행동 정지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MDF 바닥재에서 유해성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축법 제43조.
  2. 김형진, 김상철. 2002. 건축재료 방화시험의 국제동향과 관련기술의 국내적용 방안. 환경관리학회지. 8(4): 299-308.
  3. 박재성, 윤명오, 이의평. 2005. 다중이용건축물의 화재 안전성 측면에서 취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 145-150.
  4. 임홍순, 육근성. 2002. 복사열원에 의한 건축용 바닥마감재 화재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 73-80.
  5. KS F 2271. 1998.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6. Demir, H., D. Balkose, and S. Ulku. 2006. Influence of surface modification of fillers and polymer on flammability and tensile behavior of polypropylene composites.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91(5): 1079-1085. https://doi.org/10.1016/j.polymdegradstab.2005.07.012
  7. Kim, H.-J. and Y. G. Eom. 2001. Thermogravimetric analysis of rice husk flour for a new raw material of lignocellulosic fiber-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0(3): 59-67.
  8. William, H., J. Starnes, D. P. Robert, R. C. Jenine, S. D. Alexander, J. K. Edward, T. L. Jeffrey, J. M. Philip, A. Q. Ronald, and Z. Jing. 2003. Cone calorimetric study of copper promoted smoke suppression and fire retardance of poly(vinyl chloride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82(1): 15-24. https://doi.org/10.1016/S0141-3910(03)00158-7
  9. Yimin, L. and B. Y. J. Qin. 2005. Preliminary burning tests on PVC fires with water mist. Polymer Testing. 24(5): 583-587. https://doi.org/10.1016/j.polymertesting.2005.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