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on the Phosphorus Removal of Municipal Wastewater in a Pilot-scale Moving Bed Biofilm Reactor with Waste-tire Media

폐타이어 담체를 이용한 파일럿 규모 유동상 생물막 공정에서 하수의 인제거에 미치는 운전인자 영향

  • Park, Woon-Ji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Ge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Ahn, Johng-Hwa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Ge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Ki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Ge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운지 (강원대학교 지구.환경공학부) ;
  • 안종화 (강원대학교 지구.환경공학부) ;
  • 이찬기 (강원대학교 지구.환경공학부)
  • Received : 2008.05.20
  • Accepted : 2008.06.10
  • Published : 2008.07.30

Abstract

This work experimentally determined the 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and solid retention time (SRT) on the phosphorus removal of municipal wastewater with waste-tire media.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pilot-scale moving bed biofilm reactor filled at a 0.15 filling ratio with the media. Total phosphorus (TP) removal efficiency was $91{\pm}5$, $75{\pm}16$, and $59{\pm}14%$ at the temperature of 9~10, 10~20, and $20{\sim}26^{\circ}C$, respectively. TP removal efficiency was $71{\pm}17$, $74{\pm}16$, $74{\pm}16$, and $68{\pm}18%$ at the SRT of 3.5~5, 5~10, 10~15, and 15~20 days, respectively. At the nitrate concentration of 1~3, 3~6, and 6~9 mg/L, TP removal efficiency was $82{\pm}9$, $68{\pm}18$, $47{\pm}7%$,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osphorus in the effluent was $0.1{\sim}1.8(0.8{\pm}0.4)mg/L$ regardless of operating conditions, which meets Korean phosphorus limit value, 2 mg/L, for discharge into receiving waters.

Keywords

References

  1. 고광백, 김영관, 윤주환, 임재명, 한무영, 문병현, 민경석, 안영호, 유규선, 이병헌, 이상호, 이인형, 임봉수(2004). 폐수처리공학 II, 동화기술
  2. 김미화, 김영규, 박태주(2001). 기존 처리장의 BNR 공정으로 시설개조에 따른 유기물농도가 낮은 하수내 질소제거시 호기성 반응조의 $NH_{4}^{+}$-N 최적 표면적 부하율과 메디아 충전율. 대한환경공학회지, 23(4), pp. 613-621
  3. 김백민(2005). 장기 SRT로 운전될 때 메디아 형태에 따른 $A^{2}$/O 공정의 영양염류 제거연구.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4. 김병군, 서인석, 홍성택, 김도군, 천상욱(2003). $KSDeN^{TM}$ 공정에서 C/P비, SRT, 온도 및 질산염 농도가 인 제거에 미치는 영향. 상하수도학회지, 17(1), pp. 79-86
  5. 김영규, 조일형(2006). 미생물 코팅 담체를 이용한 하수의 질소.인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1), pp. 27-35
  6. 김영철(2007). 파이롯트 규모의 BNR공법에 의한 도시하수의 질소 및 인 제거. 상하수도학회지, 21(5), pp. 589-599
  7. 류홍덕, 이상일(2006).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따른 부유성장 미생물을 이용한 공정과 하이브리드 공정의 유기물, 질소 및 인 제거 특성 비교. 대한환경공학회지, 28(1), pp. 15-25
  8. 민경국, 원성연, 박승국, 이상일(2000). 생물학적 인 방출시 유기물 및 슬러지 적응에 따른 온도의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2(7), pp. 1205-1212
  9. 박운지, 안종화, 이찬기(2008). 폐타이어 담체를 이용한 파일럿 규모 유동상 생물막 공정에서 하수의 질소제거에 미치는 온도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30(5), pp. 507-516
  10. 박정수, 유대환, 최의소, 박종복(2002).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공정에서 PAO와 dPAO에 대한 온도 영향. 대한토목공학회지, 22(1-B), pp. 91-100
  11. 박종복, 최의소(2003). 다단으로 구성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 원수 분배율에 따른 질소.인 제거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5(5), pp. 624-631
  12. 박태진, 이정민, 송경석, 조일형, 김영규, 정문호(2000). $A_{2}O$ 공정에서의 섬모상 담체 사용 유무에 따른 하수의 질소.인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6(3), pp. 69-75
  13. 신응배, 박주섭, 이두진, 주봉현(2001). 간헐폭기를 이용한 고도처리공정에서 SRT와 인제거의 상관관계. 대한환경공학회지, 23(2), pp. 251-260
  14. 안승섭, 박노삼, 이수식, 이관영, 박상현(2000).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생물막 공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9(5), pp. 415-422
  15. 이용두, 고득영(2007). 폐타이어 표면에 형성되는 Functional Group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9(3), pp. 357-364
  16. 임광희, 정용준, 박이순, 민경석(2001). 폐수처리용 폐타이어 담체의 제조 및 특성. 화학공학회지, 39(5), pp. 600-606
  17. 전체옥, 이대성, 박종문(2000). 연속 회분식 반응기에서 활성 슬러지의 생물학적 인 제거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2(8), pp. 1535-1544
  18. 정용준, 민경석(2003). 활성탄 표면개질 유동상 폐타이어담체가 충전된 $A^{2}/O$공정의 하수처리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5(10), pp. 1299-1304
  19. 정용준, 민경석, 임광희(2004). 천연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유동상 폐타이어담체의 질소 제거 효율 향상. 대한환경공학회지, 26(7), pp. 804-809
  20. 최두형, 김환기(2000). 선회류 생물학적 유동상의 최적 메디아 충전량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2(2), pp. 331-340
  21. 최용수, 신응배, 이영대(1995). 생물학적 신공정에 의한 유기물과 인 제거.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3), pp. 201-210
  22. 허형우, 신경숙, 박승국, 박종부, 최은주, 강호(2003). 혐기조의 인 방출 최적화를 위한 영향인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5(11), pp. 1382-1387
  23. 환경관리공단(2001). 폐타이어담체(Bio-SAC)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법 영양염류 제거기술. 환경기술검증보고서
  24. 환경부(2004).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5. 환경부(2007). 하수도법
  26. APHA, AWWA, WEF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ition, Washington DC.
  27. Barnard, J. L. (1983). Design considerations regarding phosphate removal in activated sludge plants. Water Sci. Technol., 15(3-4), pp. 319-328 https://doi.org/10.2166/wst.1983.0120
  28. Choi, E. S., Rhu, D. W., Yun, Z. W. and Lee, E. S. (1998). Temperature effects on biological nutrient removal system with weak municipal wastewater. Water Sci. Technol., 37(9), pp. 219-222
  29. Chuang, S. H. and Ouyang, C. F. (2000). The biomass fractions of heterotrophs and phosphate-accumulating organisms in a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system. Water Res., 34(8), pp. 2283-2290 https://doi.org/10.1016/S0043-1354(99)00380-2
  30. Eckenfelder, W. W. Jr. and Ford, D. L. (1970). Water Pollution Control, Pemberton Press, New York.
  31. Ekama, G. A., Marais, G. v. R. and Siebritz, I. P. (1984). Theory, design, & operation of nutrient removal activated sludge processes. Water Research Commission, Pretoria, South Africa
  32. Florentz, M., Caille, D., Bourdon, F. and Sibony, J. (1987).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in France. Water Sci. Technol., 19(4), pp. 1171-1173 https://doi.org/10.2166/wst.1987.0003
  33. Goto, M., Kuribayashi, S., Nonaka, Y. and Yamazaki, M. (2002). Simultaneous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with $A^{2}/O$ process using immobilized media. Water Sci. Technol., 46(11-12), pp. 113-119
  34. Hao, O. J. and Li, C. T. (1987). Effect of slowly biodegradable organics on kinetic coefficients. J. Environ. Eng., 113(1), pp. 147-154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87)113:1(147)
  35. Helness, H. and Odegaard, H. (1999).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in a sequencing batch moving bed biofilm reactor. Water Sci. Technol., 40(4-5), pp. 161-168
  36. Mamais, D. and Jenkins, D. (1992). The effect of MCRT and temperature on 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Water Sci. Technol., 26(5-6), pp. 955-965 https://doi.org/10.2166/wst.1992.0537
  37. McClintock, S. A., Randall, C. W. and Pattarkine, V. M. (1993). Effects of temperature and mean cell residence time on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es. Water Environ. Res., 60(5), pp. 110-118
  38. Ouyang, C. F., Chuang, S. H. and Su, J. L. (1999).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in a combined activated sludge - RBC process. Proc. Natl. Sci. Counc. ROC(A), 23(2), pp. 181-204
  39. Pastorelli, G., Canziani, R., Pedrazzi, L. and Rozzi, A. (1999).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in moving-bed 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s. Water Sci. Technol., 40(4-5), pp. 169-176
  40. Randall, C. W., Barnard, J. L. and Stensel, H. D. (1992). Design and retrofi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Technomic ic Publishing Co., Inc., Pennsylvania, USA
  41. Rodrigo, M. A., Seco, A., Penya-roja, J. M. and Ferrer, J. (1996). Influence of sludge age on enhanced P removal in biological systems. Water Sci. Technol., 34(1-2), pp. 41-48
  42. Siebritz, I. P. (1983). Parametric model for biological excess phosphoros removal. Water Sci. Technol., 15(3/4), pp. 127-152
  43. US EPA (1987). Design manual: phosphorus removal, EPA/625/1-87/001
  44. Wenzel, M. C., Ekama, G. A. and Marais, G. v. R. (1991). Kinetics of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biological excess phosphorus removal systems-a review. Water Sci. Technol., 23(4-6), pp. 555-565 https://doi.org/10.2166/wst.1991.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