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계에서 제사방적제조 업체에 대한 공정별 원단위산정 및 분석

Unit Mass Estimation and Analysis from Textile Spinning/Weaving Manufacturing Facility Nearby Nakdong River Basin

  • 이홍신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 ;
  • 손건태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 ;
  • 구정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 ;
  • 콘분락사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 ;
  • 이홍태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 ;
  • 이승환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환경공학)
  • 투고 : 2008.06.30
  • 심사 : 2008.10.08
  • 발행 : 2008.10.15

초록

In this investigative study, the unit mass discharge for the major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flowrate, SS, BOD, CODmn, CODcr, TN, TP from textile spinning/weaving industry nearby Nakdong river basin was estimated. To represent the respective industries, three companies from hundreds of textile spinning/weaving industries located in Nakdong river basin was carefully selected based on its manufacturing goods, flowrate and location for the estimation of unit mass discharge based on unit operation and process. There was a drastic decrease of unit mass discharge estimation between influents and effluent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which represents the removal capacity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the advent of new regulation on the imposed payment proportional to the total amount of pollutants discharge into the water body, the concept of cleaner production technology should be employed in the unit operation/proces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as well as textile manufacturing procedure to minimize the levy on the pollutants discharge. Unit mass discharge estimations of unit process (estimated in this study) in major water quality parameters (SS, BOD, COD, TN and TP) based on land were similar to those of composite process (estimat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But the unit mass discharge estimations of unit process in BOD and CODmn based on total sale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composite one while in SS, TN and TP similar to each other. For the detailed estimation of the imposed payment, unit mass estimation based on unit process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키워드

참고문헌

  1. APHA, AMMA, WPCF(1999)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New York, USA.
  2. Browne, F. X.(1979) Nonpoint Pollunt Literature Review, J. WPCF, Vol. 51, No.6, pp.1428-1444.
  3. Hardam S. Azad (1976) Industrial Wastewater Management Handbook, McGraw Hill Book Company.
  4. Metcalf & Eddy (1991) Wastewater Eng., 3rd Ed., McGraw- Hill Book Co., New York.
  5. Nelson L. Nemerow (1978) Industrial Water Pollution : Origins,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6. Novotny. V. and Olem. H.(1993) Water Quality Prevention,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Diffuse Pollution, Van Nostrand Reinhold, NY, pp.446-498.
  7. USEPA (1998) Method for Wastewater Analysis, www.epa.org.
  8. 강원도(2005) 낙동강수계 강원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9. 경상남도(2005) 낙동강수계 경상남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10. 경상북도(2005) 낙동강수계 경상북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11. 국립환경연구원(1998) 폐수배출시설 표준원단위 조사연구.
  12. 국립환경과학원(2004)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13. 국립환경과학원(2005a) 한강물환경연구소, 폐수배출시설 세분류 및 오염부하 원단위 I.
  14. 국립환경과학원(2005b) 한강물환경연구소, 폐수배출시설 세분류 및 오염부하 원단위 II.
  15. 국립환경과학원(2005c) 한강물환경연구소, 폐수배출시설 세분류 및 오염부하 원단위 III.
  16. 국립환경과학원(2006) 폐수배출시설 세분류 및 오염부하 원단위.
  17. 국토연구원(2004) 하천유역별 오염총량관리제도의 도입에 따른 지역경제 및 토지이용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2004-15.
  18. 김남진, 최성헌, 방규철, 천세억, 정동일(2003) 폐수배출시설의 오염물부하 원단위산정에 관한연구,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139-142.
  19. 김이형, 강주현(2004)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EMC 및 부하량 원단위산정,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0, No.6, pp.631-640.
  20. 낙동강물환경연구소(2003)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기본계획.
  21. 노동부(2004) 산업안전보건자료.
  22. 산업자원부(2004) 산업자원통계, www.me.go.kr.
  23. 신응배 외 5(1997) 산업공단에서의 초기강우 유출수 오염물질특성 및 관리, 대한환경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pp.453-456.
  24. 이준호 외 4(1998) 강우시 도시유역에서의 유출오염부하량 원단위 산정,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615-619.
  25. 임재명, 최승철, 김병욱, 원철희(2001a) 숙박시설과 음식접객업의 오수배출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385-388
  26. 임재명, 최승철, 김병욱, 권혁조, 김희조(2001b) 건축물의 용도별 오수배출 원단위 산정(숙박시설과 음식접객업을 중심으로), 대한환경공학회 공동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I, pp.165-166
  27. 정동일, 천세억, 박지형, 방규철, 김상훈(2004) 우리나라 산업폐수 배출시설 원단위산정,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120-129.
  28. 조수현, 강미아, 추용엽, 정교철, 정동희, 이준홍(2006) 유기물오염도 지표를 이용한 하천수질영향평가-산업폐수 방류수질을 기준으로, 대한지질공학회지, Vol.16, No.4, pp.373-379.
  29. 최재성(2000) 분석화학.기기분석, 동화기술.
  30. 환경부(2001) 폐수배출허용기준 적용대상물질 확대지정을 위한 연구.
  31. 환경부(2002) 수질유해물질통합독성 관리제도 도입방안 연구.
  32. 환경부(2003a) 산업폐수 관리 체계 개선 연구: 최종 보고서.
  33. 환경부(2003b) 특정수질유해 물질 확대 지정 및 배출허용기준 설정 연구: 2차년도.
  34. 환경부(2003c) 산업폐수관리체계개선 연구 최종보고서.
  35. 환경부(2003d) 지하수의 수질 보전등에 관한규칙개정령, www.me.go.kr.
  36. 환경부(2004)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37. 환경부(2005) 수질 유해 물질의 통합독성 관리제도 도입 방안연구: 최종 보고서.
  38. 환경부(2007) 2005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
  39. 환경부(2008) 산업폐수 관리현황 및 환경부 정책 방향. www.m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