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음악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Integrated Approach of Young Children's Music Education

  • 투고 : 2008.04.01
  • 심사 : 2008.07.30
  • 발행 : 2008.08.31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t also intended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of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by examining into the necessity of it as a method to help young children with music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ither of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music should be necessary and there is a mutual pro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t was found out that real musical understanding can be formed not by mechanical skill, but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notes is understood with various experiences. Therefore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became necessary as a principle of educational method to help young children with musical understanding and musical expression. Concretely it was found out to be necessary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interest and concern of young children, the use and development of multi intelligence and the translation of the same knowledge into the same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숙현(1999). 통합 유아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대안적 논의, 영유아교육연구, 2, 23-41
  2. 권덕원(1999a). 베넷 리머의 음악 교육 철학에 관한 소고, 음악교육연구, 18, 81-98
  3. 권덕원(1999b). 데이빗 엘리엇의 실행 중심의 음악 교육 철학이 음악 교육에 끼치는 영향, 국악과 교육, 17, 10-37
  4. 구자억 외(1997).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 과정 개정 방향의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5. 김경희(1995). 음악적 사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음악교육연구, 14, 179-194
  6. 김규욱(1996). 듀이의 경험이론에 비추어 본 도구 주의의 재해석, 교육원리연구, 1(1), 1-50
  7. 김영연(1996). 유아음악교육론, 서울: 학지사
  8. 김영연(1997). 동요분석을 통한 통합적 유치원 음악수업모델, 음악교육연구, 16, 1-28
  9. 김영연.박형신(2003). 유아의 장단개념 이해를 돕기 위한 통합적 유아국악교육, 2003 연차학술대회-한국 유아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대화의 토대, 333-345
  10. 김용희.방금주(2000). 음악창작 아카데미, 서울:학문사
  11. 김재복(1980). 국민학교 저학년 교과용 도서 통합의 정당성과 통합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 7(1), 97-107
  12. 김재복(2000). 통합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13. 김재춘(1988). 교과의 성격에 비추어 본 교육과정 통합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4. 김재춘.부재율.소경희.채선희(2000). 예비.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5. 김재춘(2005). 듀이의 '교과의 심리화'와 '교과의 진보적 조직' 논의가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에 주는 시사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23(2), 1-15
  16. 김판수 외(2000).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서울: 학지사
  17. 노영희(1999). 통합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육과정 계획의 조건 탐색. 유아교육학 논집, 3(2), 157-177
  18. 변영계.김영환.손미(1996).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19. 석문주(1996). 음악적 성장을 위한 음악과 교수-학습지도. 서울: 풍남
  20. 석문주(2002).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 음악교육연구, 22, 29-55
  21. 석문주.최은식.함희주.권덕원(2006). 음악교육의 이해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22. 성경희(1988). 음악과 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23. 승윤희(2000). 신경과학 연구에 근거한 음악교육의 중요성, 연세음악연구, 7, 201-225
  24. 승윤희(2001). 음악정보의 처리과정과 창의적 사고의 이해-정보처리이론과 신경과학연구에 기초하여, 음악교육연구, 21, 27-51
  25. 승윤희(2004).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 음악교육연구, 27, 129-154
  26. 안경숙.옥주(2003). 소리에 대한 음악과 과학 교육 통합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24, 49-65
  27. 안재신.한애향(1999).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18, 1-49
  28. 엄태동(2001). 존 듀이 교육학에 대한 오해와 새로운 이해, 교육원리연구, 6(1), 95-128
  29. 이기숙 외(1992). 유아교육의 통합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2, 91-112
  30. 이민정(2002). 유아음악활동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5(2), 55-82
  31. 이민정(2004). 다감적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4), 23-49
  32. 이숙희(2005).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407-430
  33. 이연경(1993). 심미적 감수성 계발을 위한 음악교육의 교육철학적 원리와 방법론에 대한 고찰, 음악과 민족, 6, 278-304
  34. 이춘희.이영옥(1999). 유아 음악교육활동의 현장 실태 연구, 경원전문대 논문집, 21, 285-308
  35. 이칭찬(1998).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서울: 문음사
  36. 이홍수(1992).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37. 이홍수(1993).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38. 이효숙(2003). 통합교육으로서의 유아 음악극에 대한 이론적 고찰, 광주보건대학 논문집, 28, 95-107
  39. 임미경.장기범.함희주(2002).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도서출판 예종
  40. 임은애(2001). 유아의 음악적 이해 형성을 돕기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21(1), 51-70
  41. 임은애(2007). 동작과 언어를 통합한 리듬교육활동에 대한 효과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9(2), 239-255
  42. 장상호(1997). 학문과 교육(상),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3. 장상호(2000). 학문과 교육(하),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4. 조주연(1998). 학습 및 기억에 대한 인지과학적 발견의 교육적 적용, 초등교육연구, 12(2), 5-27
  45. 최은식(2006). 리머 음악교육철학의 변천에 관한 연구: 심미적 철학에서 경험적 철학까지, 음악교육연구, 30, 201-222
  46. 홍혜경.김영옥(2001). 유아사회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1(1), 27-49
  47. Abeles, H. F., Hoffer, C. R. & Klotman, R. H. (1991). 음악교육의 기초. 방금주 역, 서울: 삼호출판사
  48. Andress, B.(1984).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 이은화.김영희 역, 서울: 교문사
  49. Ann, B. K., & Ann, M. G.(1997). Integrating the musical intelligence in a first grade curriculum. M.A. Action Research Project, Saint Xavier University II
  50. Armstrong, T.(1997). 복합지능과 교육, 전윤식.강영심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51. Berbe, W. B. & Swassing, R. S.(1979). Teaching through modality strengths: Concept and practice. Columbus, OH: Loner Bloser
  52. Bredekamp. S. & Rosegrant, T.(1995). Reaching potential: Appropriate curriculum and music assesment for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EYC
  53. Bruner, J. S.(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4. Campbell, P. S. & Scott-Kassner, C. (1995).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New York: Schirmer Books
  55. Charbonneau, M. P. & Reider, B. E.(1995). The integrated elementary classroom: A developmental model of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Boston, MA: Allyn and Bacon
  56. Craig, I.(1990). Classroom planning. In. I. Craig(ed.), Managing the primary classroom. New York: Longman
  57. Dewey, J.(19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아 동과 교육과정/경험과 교육, 박철홍(역)(2002). 서울: 문음사
  58. Dewey, J.(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아동과 교육과정/경험과 교육, 박철홍(역)(2002). 서울:문음사
  59. Dewey, J.(1952).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60. Dewey, J.(1990). The school and society.The child and the curriculum. P. W. Jackson(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1. Eisner, E. W.(2003). 인지와 교육과정. 박승배역. 서울: 교육과학사
  62. Elliott, D. J.(1995). Music matter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3. Elliott, D. J.(1997). Continuing matters: Myths, realities, rejoinders.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Spr. no. 132, 1-37
  64. Fischbach, G. D.(1992). Mind and brain. Scientific American, 267(3). 48-57
  65. Fogarty, R. (1991)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Palatine, IL: ILI/Skylight
  66. Fortson, L. R. & Reiff, J. C.(1995). Early childhood curriculum; Open structures for integrative learning. London: Allyn & Bacon
  67.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New York: Basic Books
  68. Greenberg, M.(1995). 유아음악교육, 이기숙.김영주 역, 서울: 교문사
  69. Hanslick, E.(1957). The beautiful in music. trans. by Gustav Choen. Indianapolis: The Liberal Arts Press
  70. Hart, C. H. & Burts, D. C. & Charlesworth, R. (1997). Integrated curriculum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Birth to age ei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1. Hoffer, C. R. (1984). 음악교육론, 안미자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72. Jack, N.(1990). Elementary music con moto. Music Educators Journal, January, 78-80
  73. Kagan, S. & Kagan M.(1998). Multiple intelligences: The complete MI book. San Clemente: Kagan Cooperative Learning
  74. Katz, L. G. & Chard, S. C.(1989).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ach, NJ: Ablex Publishing Co.
  75. Klahr, D.(1992),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es to cognitive development. In M. H. Bornstein & M. E. Lamb(Eds.), Developmental Psychology:An advanced textbook(3rd ed., pp. 273-335). Hillsdale, NJ: Erlbaum
  76. Krogh, S. L.(1997). How children develop and why it matter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tegrat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C. H. Hart, D. C. Burt, & R. Charlesworth (Eds.), Integrated curriculum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Birth to age ei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7. Leonhard, C. & House, R. W.(1992). 음악교육의 기초와 원리, 안미자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78. McGirr, P. I.(1995). Verdi invades the kindergarten. Childhood Education, 71(2), 74-79
  79. MENC(1992). MENC position statement on ear1y childhood education. MENC soundpost, 8(2), 21-22
  80. Meyer, L. B.(1991). 음악의 의미와 정서, 신도웅역, 서울: 예솔
  81. Pica, R.(1995). Experiences in movement with music, activities, and theory. New York: Delmar Publishers Inc
  82. Philpott, C. & Plummeridge, C.(Eds.)(2001). Issues in music teaching. New York: Routledge
  83. Radocy, R. E. & Boyle, J. D.(2001). 음악심리학, 최병철.방금주 역, 서울: 학지사
  84. Reimer, B.(1963). The common dimensions of aesthetic and religious exper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85. Reimer, B.(1970).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86. Reimer, B.(1989).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dvancing the vision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87. Serafine, M. L.(1988). Music as cogni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88. Wiggins, J.(1999). Teacher control and creativity. Music Educators Journal, 85(5). 30-44 https://doi.org/10.2307/3399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