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of an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after Gastric Cancer Surgery

위암 수술 후 발생한 복강 내 체액 저류의 치료

  • Jeon, Young-Min (Department of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Hye-Seong (Department of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Moon-Won (Department of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Jae-Jin (Department of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eong-Min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uk-Joon (Department of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ang, Han-Kwang (Department of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uhn-Uk (Department of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전영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 ;
  • 안혜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 ;
  • 유문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 ;
  • 조재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 ;
  • 이정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교실) ;
  • 이혁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 ;
  • 양한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 ;
  • 이건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Purpose: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is one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morbidity or mortality for patients who undergo gastric cancer surge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postoperative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and to identify the indications for inserting a percutaneous drain (PCD) in patients with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1,277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for gastric canc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2005 and July 2006, the data of 117 patients with an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were reviewed.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athologic stage I, II, III and IV disease was 42 (36.8%), 23 (20.2%), 16 (14%) and 33 (28.9%), respectively. Forty-three patients (36.3%) underwent PCD insertion and the other 43 patients received conservative management. A univariate analysis of multiple clinical variables revealed that age, gender, diabetes, liver disease, lymph node dissection, the pathologic stage and the body mass index (BMI, $kg/m^2$)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CD insertion (P>0.05). However, the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wo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high incidence of PCD insertion: a diameter of an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greater than 4 cm and infectious signs such as leukocytosis, fever and bacteremia. Conclusion: About two thirds of the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s after surgery for gastric cancer were managed with only conservative method without other morbidities of mortality. Surgeons should consider performing PCD insertion if the largest diameter of an intra-abdominal fluid collection is over 4 cm or if infectious signs are seen.

목적: 위암 수술 후 이환율 및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로 복강 내 체액 저류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위암 수술후 복강 내 체액 저류가 발생한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과 이에 관한 치료 방법으로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한 군의 임상적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서울대학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1,277명 환자 중 117명에서 체액 저류가 확인되었다. 체액 저류의 치료 방법에 따라 임상 병리학적인 인자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복강 내 체액 저류가 확인된 117명의 병기는 1기 42명(36.8%), 2기 23명(20.2%), 3기 16명(14%), 4기 33명(28.9%)이었다. 수술 방법으로 위아전절제술은 38명(32.5%), 위전절제술은 27명(23.1%), 위확대전절제술은 41명(35%)이었다. 치료방법으로써 경피적 배액술 시행 군과 보존적 치료를 한 군 간에 나이, 성별, 동반 질환 유무, 림프절 청곽술 범위, 병기, 체질량지수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체액 저류 크기가 4cm 이상인 경우와 감염증이 있는 경우에 치료 방법으로써 경피적 배액술을 더 많이 시행하였다(P<0.05). 결론: 위암 수술 후 복강 내 체액 저류가 발생한 환자는 4기 위암 또는 타 장기 합병 절제의 경우가 많았고 체액 저류에 대하여 2/3 (41명, 35%)에서 보존적 치료로써 호전이 되었다. 경피적 배액술은 체액 저류 크기가 4 cm 이상일 때 또는 감염증이 있을 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