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기 위치에 따른 딜레마존 안전율 분석

Analysis of Dilemma Zone Safety Considering Signal Location

  • 류창남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전북지부 안전조사팀) ;
  • 김원철 (히로시마대학교 국제협력대학원) ;
  • 장태연 (전북대학교 건축도시공학부) ;
  • 임삼진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발행 : 2008.02.28

초록

교통신호기의 설치목적 중 하나는 교통신호기를 통해 차량의 이동을 명확히 규제하여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데 있다. 하지만, 부적절한 신호기 위치로 인해 교차로에 접근하는 운전자가 안전운행에 필요한 행태를 나타내지 못한다면, 교통 안전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현장상황에 적합한 설치기준 또는 권고사항이 현장조사 및 분석을 통해서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심 신호교차로의 신호기 위치가 교차로에 접근하는 운전자의 운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신호기 위치는 딜레마존을 형성하는 운전자의 감속시작지점과 접근속도에 따른 딜레마존 분포에 영향을 미치며, 더욱이 딜레마존 안전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의 교통안전도를 향상하기 위한 대안으로 교통신호기를 정지선 근처로 이설 또는 설치하는 방안을 다룬 신호기 설치운영 권고안을 제안하여 현장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One of purposes of installing signals at intersections is to protect traffic conflicts and accidents from occurring by means of arranging the right-of-way of travel more clearly. 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of signals, and especially their location, can also have negative effects on safety. Therefore, the location of signals is of great importance. To secure a high safety level for urban signalized intersection, efforts are required to introduce a comprehensive recommendation or guideline for safety aspects of signal installation that takes local conditions into account. In this context, this reports on a study that analyzed the influence of signal location on the behavior of drivers who approach a signalized intersection in urban area. As a result,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traffic signal location strongly affects the braking point of the Dilemma Zone(DZ), and the braking point of the DZ based on driving speed. Also, in terms of design layout, it has been illustrat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signal location and road safety, especially DZ safety.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 practical recommendation for signal installation related to how to locate the signal in practice for the sake of securing the safety level of signalized interse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찰청(2005), 교통신호기 설치․관리 매뉴얼
  2.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과학연구원(1998), 교통신호기 설치기준 연구III
  3. 이수범, 장명순, 도철웅, 김원철(2001), 인적요인이 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1단계) -교차로 구간에서 운전자 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총서 2001-01, 교통개발연구원․한양대학교 첨단도로연구센터
  4. 이승환.이성호.박주남(2003), 신호교차로 황색현시에서의 운전자 형태 및 딜레마 구간 연구방안, 대한교통학회회지, 제21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7-16
  5. 황경수.황준환.김점산.이성모(2004), 신호교차로에서 차량 통과특성 연구 (공격적인 운전자가 운전하는 차량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03-108
  6. AASHTO(2001),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 and Streets -Fourth Edition-
  7. FHWA(1984), Engineering Factors Affecting Traffic Singal Yellow Time -Data Collection Mannual-, Report No, FHWA/RD -85/055
  8. Gazis, D., Herman, R., Maradudin, A.(1960), The Problem of the Amber Signal Light in Traffic Flow, Operations Research 8, pp.112-132 https://doi.org/10.1287/opre.8.1.112
  9. McCoy, P., Pesti, G.(2003), Dilemma Zone Protection with Advance Detection and Active Warning Signs, Nebraska Dept. of Roads, Research Project No. SPR-PL-1.(35)
  10. Martin, P., Kalyani, V.(2003), Evaluation of Advance Warning Signals on High Speed Signalized Intersections,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tah
  11. Sheffi, Y., Mahmassani, H.(1981), A Model of Driver Behavior at High-speed Signalized Intersection. Transportation Science 15, pp.50-61 https://doi.org/10.1287/trsc.15.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