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on Crash Reduction Regarding Land Use Characteristics

토지이용 특성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분석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정도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도경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first phase of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introduced to enhance the safety of school-routes were completed by 2007 and the second phase of the project will be continued from 2008 to 2012. Since a huge budget is required for the project, there is a need to evaluate how many child-related crashes were reduced through the project,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pha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chool Zone Improvement Project on reduction in child-related crashes with data colle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is study employed a Before-and-After study with comparison group to assess how many crashes were reduc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hild-related crashes were decreased by 10, which is about 39% reduction in crash frequencies. With respect to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school zones, the number of reduced crashes in residential zone, commercial zone, and mixed zone were 2.41, 3.8, and 0.5, respectively. The results may provide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the second phase of the project tha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different plans for improvement project with respect to land use characteristics.

초등학교 주변 통학로에서의 어린이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실시된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은 2007년도를 마지막으로 1단계 개선사업이 종료되고 2008년부터 2단계 개선사업이 시작된다.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2단계 사업에 앞서 1단계 사업을 대상으로 개선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서울 경기)에 위치한 601개소의 어린이 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이 교통사고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교그룹을 이용한 사전 사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어린이 보호구역별 교통사고 자료는 경찰청의 TAMS 자료로부터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우선 601개소 어린이 보호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개선사업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를 평가했으며, 그 다음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이 위치한 지역의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각에 대해 사고감소효과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을 시행한 지역은 개선사업을 시행하지 않은 지역보다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전체적으로 합해서 약 10건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감소율은 약 39%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주거지역, 아파트 지역, 주상복합지역의 사고감소 건수는 각각 2.41건, 3.8건, 0.5건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2단계 개선사업 시행 시 획일적인 개선사업보다는 토지이용 특성별로 맞춤형 개선안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점별 특성에 맞는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2004-2006), "어린이 교통사고 자료(TAMS 자료)"
  2. 교통안전공단(2004), "교통사고 증감원인 분석 대책연구"
  3. 김영현(2003), "어린이 보호구역 실태 분석에 따른 개선방안", 한밭대학교 석사논문
  4. 김채만.김정은(2006), "경기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효율화 방안", 교통기술과 정책, 제3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44-156
  5.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7), "교통사고통계"
  6. 신동철.김화무.최동호(1998), "어린이 보호구역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 제34회 학술발표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312-322
  7. 엄상미(2003), "어린이 보호구역 교통사고 실태분석에 따른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석사논문
  8. 원광희.박정순(2005), "충청북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방안 연구", 충북개발연구원
  9. 정도영.김도경.이수범(2008), "통학로 특성에 따른 어린이 보호구역의 효과 평가",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1호, pp.1-13
  10. 행정자치부(2004), "어린이보호구역 및 지방관리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 발전방안"
  11. Clifton, K. J. and K. Fults(2006), "Role of Environmental Attributes in Explaining Pedestrian-Vehicular Crashes near Public Schools", TRB 85th Annual Meeting
  12. Gates, T. J., H.G. Hawkins, and R.T. Ewart(2004), "Effectiveness of a Rear-Facing Flashing beacon in School Speed Limit Sign Assemblies", Presented at the TRB 83rd Annual Meeting
  13. Hauer, E.(1997),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on road safety", Pergamon
  14. NHTSA(2006), "Demonstration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in School Zones in Portland", Ore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