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거주외국인의 생활만족도와 소비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Life Satisfac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 김현주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
  • 나종연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 Kim, Hyun-Joo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ha, Jong-Youn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12.30

초록

This study invest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survey and 545 foreigners who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3 months, with age over 20 participated as respondents. A research framework was formulated based on the resource constraint hypothesis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information resource(human, media and internet information source) and consumer resource(monthly income, language ability and consumer proficiency) on the level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from data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consumer problems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indicated that resident foreigners recognize a burden for residence cost, food expense and education fee. Most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are found to use small local shops most often indicating they may experience adverse market environment due to resource constraint such as language or psychological barrier, an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most often used payment method was cash. Furthermore,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responded that lack of language service, lack of information provision, inability to use certain goods and services are the common cause of consumer dissatisfaction, as well as price and quality problems. Second,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2.96 in 4.0) is higher tha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2.63 in 4.0). Thir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is by the media information source usage and consumer claim experience. Fourth,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is found to be the variable with the strongest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민정, 서순희 (1998). 다단계판매에 대한 소비자지식, 소비자피해, 소비자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6(9), 75-91
  2. 김선량, 정순희, 차경욱(2002). 전자상거래시 소비자정보탐색과 소비자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95-107
  3. 김소라 (1997) 소비자의 내적 정보량과 구매전 탐색이 구매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영신 (2005). 소비자소외감 소비생활수준만족도와 생활만 족도에 대한 인과분석 - 성별에 따른 중 .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8(3), 77-97
  5. 나임순 (2006).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연구, 5(2), 159-197
  6. 류미현 (1996). 소비자문제 및 불만족에 따른 대응행동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박명희 (1985). 소비자만족 . 불만족의 개념에 관한 이론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3(1), 59-69
  8. 박정숙, 박옥임, 김진희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 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0
  9. 백병성 (2003) 소비자행정론. 서울: 시그마프레스(주)
  10. 삼성경제연구소(2008) 미국 소수인종의 영향력 확대. CEO Information, 653호 1-20
  11. 유두련 (1991) 가정생활환경의 변화와 소비자문제. 소비자학연구, 2(2), 41-54
  12. 윤숙현 (1992) 소비자정보에 관한 일 연구-냉장고 구매시 인적정보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170-190
  13. 윤정주 (2007). 외국인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가툴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기춘, 박명희, 김영신, 김기옥, 이승신, 서정희 외 (1995). 소비자학의 이해. 서울: 학현사
  15. 이성림 (2008). 빈곤, 선태의 박탈. 열일곱 가지 소비자이슈 서울: 교문사
  16. 이성림, 이기춘(1991). 노인소비자문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9 (1), 177-188
  17. 이숭신, 박명희, 박수회, 이창범, 류미현 (200 0). 소비자피해 유형분석, 피해구제제도연구. 공정거래위원회 용역보고서
  18. 이일경(1991). 소비자정보원에 따른 정보탐색량과 구매후 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전선규 (1996). 만족하지 않는 것은 곧 불만족을 의미하는 가?. 소비자학연구, 7(1), 91-108
  20. 정귀순(2006). 2006년 한국정부 이주민정책. 이주노통자인권연대 심포지움 자료집 .8-23
  21. 정찬옥, 김영신 (1993) 소비자불만호소행동과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농촌주부를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2. 조석주(2007). 다문화공생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강화 방안-외국인 근자 및 결혼이민자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1(3), 3-46
  23. 한국소비자보호원(1994). 소비자문제해결올 위한 경제주체별 역할 서울: 한국소비자보호원
  24.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 http://www.kca.go.kr
  25. 행정자치부(2007a). 지방자치단체 거주외국인 지역사회 정착 지원 업무편람. 서울: 행정자치부
  26. 행정자치부(2007b). 거주외국인도 지방자치법상 주민으로 해석. 2007.3.7일자 행정자치부 보도자료
  27. 허경옥, 유소이 (2001). 제품과 서비스의 소비자불만 및 소비 자불평행동 결정요인 분석. 이단계 추정방법 응용, 소비문화연구, 4(2), 57-83
  28. Andreasen, A R.(1975). The disadvantaged consumer. N.Y.: The Free Press, 1975
  29. Becker, G. S.(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time. The Economic Journal, 75(29),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30. Churchill, Gilbert A Jr., & Surprenant, C.(1982).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 491-504 https://doi.org/10.2307/3151722
  31. Gronhaug, K. (1987), Exploring the problem-prone consumers:Hypothesis and empirical finding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1(1). 74-82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4680
  32. Kotra(2007). 2007 외국인 투자기업 생활환경 애로조사. 서울:Kotra
  33. Maddox, R. N.(1981). Two-factor Theory and Consumer Satisfaction :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8, 97-102 https://doi.org/10.1086/208845
  34. Stigler, G. J.(1961).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9(3), 213-220 https://doi.org/10.1086/258464
  35. Swagleι R. M.(1979). Consumers and the market. Lexington, Massachsetts: D.C.Health and Company
  36. Westbrook, R. A , & Newman, J. W.(1978). An Analysis of Shopper Dissatisfaction for Major Household Applianc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 456-457 https://doi.org/10.2307/3150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