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무혈성괴사

Multifocal Osteonecrosis

  • 김종원 (한일병원 정형외과) ;
  • 유정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희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Kim, Jong-W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nil General Hospital) ;
  • Yoo, Jeong-J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ee-Jo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8.12.31

초록

목적: 다발성 무혈성 골괴사 환자들의 임상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관절과 더불어 다른 관절에 이환된 경우를 다발성 무혈성 골괴사로 정의하고, 198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확인된 다발성 무혈성 골괴사 환자의 위험인자, 이환 부위, 증상 등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고관절 무혈성 골괴사 1740환자 중 33명(2%)에서 다발성 무혈성괴사가 확인되었다. 남자 16예, 여자 17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8.7세(28~74)였다. 원인적 위험인자로 전신성 홍반성 낭창(6예), 재생불량성 빈혈(2예), 악성종양(2예), 다발성 경화증(1예), 특발성 간질 폐섬유증(1예), 감압병(1예), 특발성(9예), 과도한 음주(6예) 등이 있었고, 33명중 17명(52%)에서 스테로이드 복용 병력이 있었다. 부위는 대퇴 골두 부위 33예, 대퇴 및 경골과 부위 22예, 상완 골두 부위 13예, 거골체 부위 4예, 주상골 부위 양측 1예였다. 전체 132부위로 환자당 4.0부위를 침범하였다. 결론: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 다발성 무혈성 골괴사의 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임상적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골주사 등을 포함한 정밀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ultifocal osteonecrosis. Materials and Methods: When two or more anatomic sites were affected by osteonecrosis, this was defined as multifocal osteonecrosi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ases of multiple osteonecrosis that were diagnosed between January 1982 and December 2003, and we analyzed such clinical characteristics as the risk factors, the involved sites and the symptoms. Results: Thirty-three of 1740 patients (2%) with multifocal osteonecrosis were found. They were 16 men and 17 women with a mean age of 48.7 years (range: 28 to 74). The associated factors include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6 patients), aplastic anemia (2 patients), malignancy (2 patients), multiple sclerosis (2 patients),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1 patient), Caisson's disease (1 patient), idiopathic (9 patients) and alcohol abuse (6 patients). Seventeen of 33 patients (52%) had a history of corticosteroid therapy. The involved sites included 33 femoral heads, 22 femoral and tibial condyles, 13 humeral heads, 4 talar bodies and 1 scaphoid. In total, 132 sites were involved (4.0 per patients). Conclusion: Chronic steroid therapy affected the high incidence of multifocal osteonecrosis. Therefore, further studies that would include bone scans are needed for patients who undergo steroid therapy, and especially when these patients show clinical sympto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