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Using Dynamic Contention Window

동적 경쟁윈도우를 이용한 Ad Hoc 망에서의 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

  • 안홍영 (홍익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 Received : 2008.07.15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Since Bianchi's 2-D Markov Chain Model considers collision problem only in ideal channel condition, it does not reflect real channel impaired by fading, interference, and noise.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DCF) doubles its contention window(CW) when transmission fails regardless of collision or transmission error. Increase of CW caused by transmission error degrade throughput and increase the delay. In this paper, we present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parameters such as contention window size(CW), transmission probability for a given time slot(${\Im}$), transmission failure probability($p_f$), on the system performance and provide a method how to decrease the initial CW to achieve equivalent performance.

DCF 성능 분석 모델에 사용되는 Bianchi의 2차원 Markov Chain 모델은 오류가 없는 이상적 채널에서 충돌 문제만을 다루므로 페이딩, 간섭, 잡음 등 실제 채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802.11 DCF는 전송실패가 충돌에 의한 것이든, 채널 전송오류에 의한 것이든 경쟁윈도우(CW) 크기를 두 배로 증가시키는 2진 지수후퇴 알고리즘을 작동시킨다. 이상적으로 경쟁윈도우 증가는 혼잡에 의한 충돌방지 때에만 사용되어져야 한다. 통신오류에 의한 경쟁윈도우 증가는 데이터 처리율을 떨어뜨리고 전송지연의 증가를 야기 시킨다. 오류 채널에서는 전송실패 증가가 과도한 이진 지수후퇴를 야기하므로 초기 경쟁윈도우(CW) 크기를 줄여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쟁윈도우(CW), 타임슬롯에서 전송 확률(${\Im}$), 전송 실패 확률($p_f$) 등이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을 하고 등가적으로 CW 값을 얼마큼 줄여야 할지를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