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Pathogens and Antibiotic Sensitivitie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Neonatal Sepsis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

  • Kim, Kyung-Nam (Department of Pediatrics,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Ho-Jin (Department of Pediatrics,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경남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호진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Purpose : To set up an appropriate treatment plan for neonatal sepsis by investigating changes in pathogens and antibiotic sensitivities.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the Eulji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6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ulture reports were analyzed for causative microorganisms and antibiotic sensitivities. Results : Among 164 neonates, 19 neonates (11.6%) had 26 episodes of culture-proven sepsis. Very late onset sepsis was the most common type. The dominant pathogens of sepsis included Klebsiella pneumoniae, Streptococcus spp.,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and Enterobacter spp., and were mostly multi-drug resistant. Conclusion : For the appropriate treatment of neonatal sepsis, proper use of antibiotics through the periodic review and understanding of changes of the microorganisms and antimicrobial sensitivities is necessary to prevent multi-drug resistant microorganisms and to avoid excessive use of broad-spectrum empiric antibiotics.

목 적 : 신생아 패혈증의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극소 저출생 체중아 및 미숙아의 이환율 및 사망률 증가와 관련된 패혈증에 대하여 가능한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을지대학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패혈증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에 대해 조사하여 시기별 분포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164명 중 균이 증명된 환아는 19명(11.6%)이었다. 균이 증명된 19명의 환아에서 총 26례의 패혈증 발생을 보였으며, 후기 지발형 패혈증의 발생빈도가 제일 높았다. K. pneumoniae가 가장 흔한 원인균이였으며, 그 뒤로 Streptococcus spp., CNS, Enterobacter spp.의 순으로 배양되었고, 대부분이 경험적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결 론 : 과거 연구나 타 의료기관에서 증명된 흔한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 의존하여 광범위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기보다는 주기적으로 원인균 및 항균제 감수성의 변화를 파악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신생아 패혈증의 치료의 효과뿐만 아니라,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