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멘트형 Wagner SL 스템을 이용한 고관절 재치환술

Revision Total Hip Replacement using a Cementless Wagner SL Femoral Stem

  • 조세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동희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순택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박형빈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황선철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차민석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Cho, Se-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He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Soon-Tae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Hyung-Bi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wang, Sun-Chu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a, Min-Seo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3.31

초록

목적: Wagner 스템을 이용하여 고관절 재치환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6월부터 2005년 7월까지 Wagner 스템으로 재치환술을 시행했던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평균: 31개월, 25~84개월)가 가능한 21예를 대상(남자 16예, 여자 5예)으로 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Harris 고관절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는 응력 방패 현상, 스템 수직 침강, 대퇴거 위축, 골재형성을 분석하여 이용하였다. 재치환술의 원인은 무균성 해리14예, 스템 주변 골절 4예, 방치된 인공 고관절 탈구 1예, 반복된 인공 고관절 탈구가 2예였다. 광범위 대전자 절골술 10예, 대전자부 절골술이 6예 시행되었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45.7에서 최종 추시 시 91.3으로 향상되었다. 술 후 하지 단축(2 cm) 1예, 스템 수직 침강 3예, 응력 방패 현상 4예, 대퇴거 위축이 3예 관찰되었다. 술 전 Gruen 3, 4 구역의 골용해는 골수강에 충만된 고정으로 골재형성이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결론: Wagner 스템은 수술 직후 고정력과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원위부 골용해는 골 이식과 관계없이 골 재형성이 되어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nges of femoral revision with the Wagner SL stem. Materials and Methods: 21 femoral revisions were performed in 21 patients (16 males and 5 females; mean age 58.9 years) between June 1997 and July 2005, utilizing the Wagner SL stem. The follow-up period was a mean of 31 months (range 25-84 months). Causes of revision included aseptic loosening (14 cases), periprosthetic fracture (4 cases), recurrent total hip dislocation (2 cases), and neglected bipolar hip dislocation (1 case). Greater trochanteric osteotomy was performed in 10 cases, and extended trochanteric osteotomy was performed in 6 cases.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using Harris hip score. Radiographic parameters such as stem subsidence, calcar atrophy, and stress-shielding were also assessed. Results: The mean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45.7 to 91.3. There was no removal of the implanted Wagner stem. One case of nonunion of the greater trochanter was treated by fixation with Dall-Miles cables and a trochanteric plate. There was one case of limb shortening of 2 cm. Conclusion: The Wagner SL stem provided immediate stability and allowed early weight-bearing. Bony regeneration around the stem was achieved without resorting to a bone graf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