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torage Analysis of Topyeong Stream Watershed by Washland Construction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토평천 유역의 저류량 분석

  • 김재철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 유재정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In recent days, the cases of using wetlands in treating waste water, storm events, mining leachate, and agriculture effluents are increasing. But there is the lack of the data for wetlands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long term monitoring. Such an aspect makes the proper use of wetland impractical.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a long term hydrologic data, the time series of storage amount for Upo, Mokpo, Sajipo, and Jjokjibeol in Topyeong watershed is simulated using SWAT model. Based on the SWAT-Topyeong model involved in several scenarios for constructing new washlands in Topyeong watershed, the temporal behavior of new washlands is analyzed.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constructed washland can affect the Upo in some degrees.

최근 하수처리, 홍수조절, 광산침출수, 농업유출수 등의 처리에 습지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장기모니터링의 어려움으로 인해 습지에 대한 장기간의 자료들이 부족하여 습지의 올바른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자료 생성을 목적으로 한 수문분석의 일환으로 장기유출 수문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을 이용하여 토평천 유역의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에 대한 저류량을 모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토평천 유역에 천변저류지를 조성하는 가상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조성된 천변저류지의 저류량 거동을 분석하였다. 천변저류지의 조성에 따른 우포늪의 저류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라 우포늪도 일정 정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파악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낙동강본류 및 주요지천의 홍수시 저류공간으로서의 습지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