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Curosurf^{(R)}$ and $Newfactan^{(R)}$ i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에서 $Curosurf^{(R)}$$Newfactan^{(R)}$의 치료 효과 비교

  • Hong, Suk-Woo (Department of Pediatrics,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Eun-Ho (Department of Pediatrics,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Seung-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Ho-Jin (Department of Pediatrics,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홍석우 (을지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
  • 이은호 (을지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
  • 김승연 (을지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
  • 박호진 (을지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ffects of modified porcine (Curosurf$^{(R)}$) and bovine (Newfactan$^{(R)}$) surfactants in the treatment of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Methods : Between April 2004 and December 2006, 65 neonates (birth weight ${\leq}$2,500 g and gestational age ${\leq}$35 weeks) with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ere treated in ou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ith surfactant. Thirty-one neonates received Curosurf$^{(R)}$ and 34 neonates received Newfactan$^{(R)}$. The neonates were not enrolled if they had major congenital anomalies or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We compared the changes in respiratory parameters after surfactant instillation, the incidences of acute and chronic complications, and the mortality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Results : Neonatal and matern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patterns of change in the respiratory parameters after surfactant instillat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incidences of surfactant reinstillation and acute complications, such as pneumothorax, patent ductus arteriosus, pulmonary hemorrhage, and grade 3-4 intraventricular hemorrhag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neonates who received Curosurf$^{(R)}$ and the neonates who received Newfactan$^{(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oxygen therapy, hospitalization, prevalenc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retinopathy of prematurity,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mortality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In the present comparative stud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effects of Curosurf$^{(R)}$ and Newfactan$^{(R)}$ were observed.

목 적 :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치료에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국내 제제인 Newfactan$^{(R)}$은 Surfacten$^{(R)}$과의 비교연구는 있었지만 다른 제제와의 비교연구는 그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돼지 폐에서 추출된 modified natural surfactants인 Curosurf$^{(R)}$와 Newfactan$^{(R)}$과의 치료효과를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 하게 되었다. 방 법 : 2004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신생아 중환자실에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폐 표면 활성제를 투여받았고 출생체중이 2,500 g 이하이면서 재태연령이 35주 이하인 신생아 중 주요 선천성 기형과 태변흡입 증후군이 있었던 경우를 제외한 6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을 Curosurf$^{(R)}$를 투여 받은 군 31명과 Newfactan $^{(R)}$을 투여 받은 군 34명으로 나누어 두 제제를 사용한 환아들의 임상적 특성과 초기 투여 반응, 합병증을 의무기록을 토대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Curosurf$^{(R)}$ 투여군과 Newfactan$^{(R)}$ 투여군 사이에 출생체중, 재태 기간, 산모의 병력상 특징에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고, 폐 표면활성제 투여 후의 호흡지표의 변화에서 두 군 모두 투여 2시간 후부터 의미 있는 호흡지표의 개선을 보였으나 두 군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폐 표면활성제를 재투여한 빈도와 입원기간 중에 사망률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장기 치료효과인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산소 투여기간, 퇴원당시의 나이를 비교해 봤을 때 산소 투여기간이 Newfactan$^{(R)}$ 투여군에서 31.3${\pm}$21.2일, Curosurf$^{(R)}$ 투여군에서 24.6${\pm}$26.2일로 Newfactan$^{(R)}$ 투여군에서 산소 투여기간이 더 길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기흉, 폐출혈, 동맥관 개존, 뇌실내 출혈 등의 급성기 합병증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기관지 폐 형성이상의 빈도는 Newfactan$^{(R)}$ 투여군이 35.5%, Curosurf$^{(R)}$ 투여군이 26.9%로 Newfactan $^{(R)}$ 투여군에서 약간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미숙아 망막증, 뇌실주위 연화증, 괴사성 장염등의 장기 합병증의 발생에서도 두 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Newfactan$^{(R)}$ 과 Curosurf$^{(R)}$ 두 제제의 투여 후의 초기 치료반응 및 장기 투여효과, 급만성 합병증의 발생빈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