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된 위암 환자에서 발생한 악성 장폐쇄증의 수술적 치료

The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Bowel Obstruction Caused by Recurrent Gastric Cancer

  • 유병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중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장유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종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성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성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승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목영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종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Yoo, Byung-Eun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oong-Min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ang, You-Jin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ong-Han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ung-Soo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eong-Heum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eong-Ju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k, Young-Jae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Chong-Suk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08.06.13
  • 심사 : 2008.09.02
  • 발행 : 2009.09.30

초록

목적: 위암의 재발로 발생한 악성 장폐쇄증은 치료의 효과와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합하게 치료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으로 수술 후 재발되어 악성 장폐쇄증이 발생한 경우 수술 방법에 따른 치료 효과와 생존율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위암의 재발로 악성 장폐쇄증이 발생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방법은 절제술, 장루술, 우회술로 나누었고 치료의 성공은 유동식 이상의 경구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결과: 42명의 환자에 대해 46회의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절제술이 12회, 장루술이 24회, 위회술이 10회이었다. 입원기간과 유동식 이상의 경구 섭취까지의 기간은 장루술이 가장 짧았다. 수술 후 합병증은 10예(21.7%)에서 있었고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는 4예(8.7%)이었다. 수술 방법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위암의 재발로 발생한 악성 장폐쇄증의 수술적 치료로 장루술은 입원일과 경구 섭취까지의 기간이 다른 수술법에 비해 짧기 때문에 일부 환자들에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수술 방법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악성 장폐쇄증의 경우 근치적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Purpose: Malignant bowel obstruction caused by recurrent gastric cancer must be treated appropriately to improve the effects of treatment and to prolong survival. We reviewed the surgical treatments for malignant bowel obstruction caused by recurrent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patients with malignant bowel obstruction caused by recurrent gastric cancer and these patients were treated by surgical procedures at our hospital from 1998 to 2008. The patients were treated by resection, ostomy or bypass. The success of treatment was decided when the patients were able to tolerate more than a liquid diet. Results: 42 patients were treated 46 times by surgical procedures. Resection was done12 times, ostomy was done 24 times and bypass was done 10 times. The hospital stay and the period to liquid diet after the operation were shorter in the ostomy group. The post operative morbidity rate was 21.7% and the post operative death rate was 8.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ccording to the type of surgery. Conclusion: Ostomy is good choice for selected patients because it has a shorter hospital stay and period to liquid di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ccording to the type of surgery because curative resection is difficult to perform in patients with malignant bowel obstru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