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매립도시 완충녹지 조성현황과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방안 - 안산시 완충녹지를 사례로 -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Seashore Reclaimed Land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 Ansan City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박현애 ((주) 동해종합기술공사) ;
  • 최진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발행 : 2008.12.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안 매립도시인 안산시 철도변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완충녹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완충녹지의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에 적합한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산시 철도별 완충녹지의 식재밀도는 $0.04{\sim}0.17$주/$m^2$ 이었고, 녹지용적계수는 $0.15{\sim}1.65m^3/m^2$로 녹량이 부족하여 완충기능이 미흡하였다. 마운딩 완충녹지의 토양경도는 $2.72{\sim}15kg/cm^2$로 식생생육에 적합하지 않았다. 완충녹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생조류 서식 측면의 생물서식기능, 주변 토지이용 측면의 도시공원기능, 식재수종 계절성 측면의 경관개선기능을 검토하였다. 완충녹지를 기능에 따라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경관개선기능의 완충녹지, 경관 및 도시공원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로 재설정하였다. 완충기능 식재방안에서는 곰솔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4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고, 경관개선 기능에서는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2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다. 생물서식기능에서는 상수리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적정 식재 밀도를 교목종 0.06주/$m^2$, 아교목종 0.1주/$m^2$, 관목종 0.8주/$m^2$로 식재밀도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sed problems of railroadside buffer green space and suggested planting methods according to space function and planting concept in seashore reclaimed land, Ansan city. Planting density of railroadside buffer green zone of Ansan city was $0.04{\sim}0.17tree/m^2$, GVZ was $0.15{\sim}1.65m^3/m^2$ which is represented of deficiency of buffer function. In addition, soil hardness of mounded buffer green zone was $2.72{\sim}15kg/cm^2$. It was examined to have functions in terms of habitat for wildbirds and other organisms, surrounding landuse, urban greens, seasonality, landscape for function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s of buffer green space were re-established as habitat for organism, buffer and landscape improvement, landscape and urban park, buffer zone and habitat. It was suggested to select Pinus thunbergii as a dominated species of planting method for buffer function and planting density in canopy and under-canopy layer was $0.4tree/m^2$, $0.5/m^2$ in shrub layer. In terms of landscape improvement function, Zelkova serrata, Prunus sargentii and Prunus armeniaca were selected as major species and it in canopy and under-canopy layer was $0.2tree/m^2$ and $0.5tree/m^2$ in shrub layer. In terms of habitat function Quercus acutissima, Prunus sargentii and Sorbus alnifolia were as major species and it in canopy layer was $0.06tree/m^2$, $0.1tree/m^2$ in under canopy layer, $0.8tree/m^2$ in shrub layer.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부(1977) 반월 신공업 도시개발 기본계획. 172쪽
  2. 김봉일, 이준영, 신동인(1992) 도시계획. 기문당, 275쪽
  3. 김영용, 이경재, 최진우, 한봉호(2008) 도심 도로변 완충녹지의 주변 토지이용을 고려한 녹지기능 재설정 및 식재방안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남부순환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3): 39-51
  4.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모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쪽
  5. 김종엽(2007) 수도권 도시 내 조성녹지의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4쪽
  6. 김현수, 안태경, 변혜선(1996) Green Town 개발사업 I (연구개요 및 건축분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97쪽
  7.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02쪽
  8. 대한주택공사(2000) 임해매립지 식재기반 조성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146쪽
  9. 박달곤과 김용식(1995) 식생에 의한 소음 감쇄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23(2): 205-212
  10. 서울특별시(2000) 서울특별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1차년도). 서울시 보고서 245쪽
  11. 송근준(1990) 조경식재 설계론. 한국조경학회, 179-196
  12. 안산의제21 추진협의회(2002) 안산의제 총괄연구보고서. 302쪽
  13. 원병오(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 25권 동물편(조류 생태). 문교부, 1126쪽
  14. 유인표(1999) 아파트단지 완충녹지 개선방향 연구 -서울 수서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쪽
  15. 이우신(1998) 도시화의 영향에 의한 조류 군집의 변화. 한국조류학회지 5: 47-55
  16. 장상항(2002) 인천 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3쪽
  17. 장정찬(1986) 소음완화를 위한 도로변 완충녹지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0쪽
  18. 조우(200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 기법 개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보고서. 170쪽
  19. 한국수자원공사(1998) 반월 특수지역 개발(안산신도시 2단계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협의내용 변경계획서. 83쪽
  20. 한국수자원공사(2003) 시화.반월지구 대기오염 저감방안 수립. 497쪽
  21.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1쪽
  22. 환경부(2003) 환경친화적 완충녹지 기준설정 및 조성기법 개발. 291쪽
  23. Colin J. B., N. D. Burgess and D. 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imited(4th), London, 25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