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강의 어류상과 생태학적 군집분석

Ichthyofauna and Ecological Community Analysis in the Dong River

  • 발행 : 2008.12.30

초록

2006년 5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동강의 어류상과 생태학적 군집분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종은 총 10과 31종이었다. 총 31종의 어종 중 일차담수어가 26종, 주연성 담수어가 5종으로 나타나 일차담수어의 구성비가 매우 높았다. 우점종은 참갈겨니(Zacco koreanus) 55.73%, 아우점종은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7.15%였으며, 우세종은 배가시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6.12%, 어름치(Hemibarbus mylodon) 4.87%, 참종개(Iksookimia koreensis) 4.49% 등이었다. 한국고유종은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줄납자루(A. yamatsutae),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us), 쉬리(C. splen야연),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그리고 어름치(H. mylodon)등 19종(61.29%)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천연기념물이 1종,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종이 5종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예상되는 종수(기대종)의 분석 결과, 동강의 전 조사지점에서는 18(지점4, 5)$\sim$22종(지점 3)이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사도 분석은 62.28%(지점 1과 2)$\sim$84.13%(지점 1과5)의 범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강유역은 어류가 서식하기에 매우 적합한 수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며, 각 조사지점별 수환경도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ichthyofauna and ecological community analysis in the Dong River,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06 to May, 2007. During the surveyed period, 31 species belonging 9 families were collected. Total of 31 species(primary freshwater: 26 species, peripheral freshwater: 5 species) were found with the primary freshwater fishes being highest.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55.73%), and subdominant species was Coreoleuciscus splendidus(7.15%). Also,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6.12%), Hemibarbus mylodon(4.87%), Iksookimia koreensis(4.49%) were numerous. There were 19 Korean endemic species(61.29%), including Acheilognathus signifer, A. yamatsutae, Pseudopungtungia tenuicorpus, C. splendid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H. mylodon. Among them, 1 species was identified as qualifying for possible designation as a natural monument catergory, and 5 species were identified for designation required to protect under a wildlife category. As result of expected number of species according to rarefaction curve, the expected species of the Dong-river ranged from 19(51. 4, 5) to 22(51. 3) and result of similarity analysis ranged from 62.28%(51. 1 and 2) to 84.13%(51. 1 and 5). In conclusions, we could define that the Dong-river has a very good water conditions as habitat of fish, and habitat conditions also are very similar in every survey si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원, 김동석(2003) 동강유역의 포유동물상 및 어류조사.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2): 131-137
  2. 김익수(1997) 한국동식물도감 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3. 김익수, 박종영(2002) 한국의 민물고기 한국의 자연시리즈. 교학사
  4. 김익수, 최윤, 이충열,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5. 남명모, 양홍준, 채병수, 강영훈(1998) 내린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1): 61-66
  6. 변화근(1998) 섬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기초과학연구 11: 1-10
  7. 이광열, 장영수, 최재석(2006) 평창강의 어류상 및 법적 보호종의 서식 실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331-339
  8. 이원호, 이찬우, 장지덕, 권기정(2004) 울산지역 모자익 경관에서의 조류 다양성. 한국생태학회지 27: 325-333
  9. 전상린(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4-19
  10. 전상린, 변화근, 최청일(2002) 동강의 어류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5(5): 350-358
  11.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1990) 원색한국육수어도감. 향문사, pp.277
  12. 최재석, 장영수, 이광열, 김진국, 권오길(2004)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2(1): 111-119
  13. 최재석, 김재구(2004) 홍천강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3): 446-455
  14.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2002) 동강유역 생태조사보고서. pp. 65-104
  15. Bray,J.R. and J.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 Monogr. 27:325-349 https://doi.org/10.2307/1942268
  16. Hill, M.O.(1973) Diversity and evenness. A unifying notation and its consequences. Ecology 54: 427-432 https://doi.org/10.2307/1934352
  17. Hurlbert, S.H.(1971) The non-concept of species diversity. A critique and alter native paramenters. Ecology 52: 577-586 https://doi.org/10.2307/1934145
  18. James, F.C and S. Rathbun(1981) Rarefaction, relative abundance, and diversity of avian communities. Auk. 98: 785-800
  19. Ludwig,J.A. and J.F.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pp.67-106
  20. Margalef, 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36-71
  21. Menhinick,E.F.(1964) A comparison of some species-individuals diversity indices applied to samples of field insects. Ecology 45: 859-861 https://doi.org/10.2307/1934933
  22. Nelson, J.S.(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ely and Sons, New York, pp. 660
  23. Peet, R.K.(1974) The measurement of species diversity.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5: 485-499
  24. Shannon,C.E. and W.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Urbana, pp. 117
  25. Simpson, E.H.(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96: 688 https://doi.org/10.1038/196688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