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ength and Environmental Friendly Characteristics of Non-chemical Accelerating Shotcrete

비약액계 급결성 숏크리트재의 강도특성과 친환경성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덕흠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강형남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도종남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8.03.06
  • Accepted : 2008.06.19
  • Published : 2008.08.01

Abstract

The shotcrete is a NATM technique as a major tunnel support for ground stability after tunnel excavation. Instead of a general concrete lining method, it is a trend for curtail of construction periods and reduction of construction expenses that required to use of the permanent shotcrete lining. This high-strength shotcrete is required to use as a permanent shotcrete lining. This brought out the solu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armfulness to human. Accordingly, in this study specimens for strength measurement were made to develop shotcrete possible to develop materials in early with cement mineral accelerator as NATM method construction. It was compared with existing shotcrete material, unconfined compression test, flexural strength test, antiwashout underwater test were experimented. The fish poison test was experimented to evaluate an influence of environment. As a results of the test,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were equivalent with 28-curing day strength of existing material. An antiwashout of research subject material was revealed excellently in antiwashout Underwater test. As a results of the fish poison, an evaluation research subject material was founded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existing shotcrete.

숏크리트는 NATM공법에서 터널 굴착 후 지반안정을 위한 주요 지보재로서 시공기간의 단축과 시공비용 절감을 위해 일반콘크리트 라이닝을 대신하여 영구 숏크리트 라이닝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영구 숏크리트 라이닝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성능고강도 숏크리트가 요구되고 있으며, 인체에 대한 유해성 및 환경오염의 감소방안도 해결해야 할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ATM공법 시공시 조기에 고강도 발현이 가능한 숏크리트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멘트광물계 급결재를 사용하여 강도측정용 공시체를 제작하여 기존에 쓰여지고 있는 숏크리트재료와 비교하여 일축압축시험, 휨강도시험, 수중불분리시험을 실시하였고, 환경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어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일축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연구대상재료의 재령 7일강도가 기존재료의 28일 강도와 대등하였으며, 수중불분리시험 결과 연구대상재료의 불분리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환경영향성(어독성시험)평가 결과 기존숏크리트에 비해 연구대상재료가 친환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